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검찰, 김영사 사건 수사 착수…박은주 전 사장 3일 소환 조사



[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출판사 김영사를 놓고 박은주(58) 전 사장과 김강유(68) 대표이사가 벌이고 있는 고소·고발 사건에 대해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부장검사 조종태)는 3일 박 전 사장을 고소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고 4일 밝혔다. 박 전 사장과 함께 김영사 직원 2명도 고발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했다. 검찰은 이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수사를 거친 뒤 김 대표를 소환할 방침이다.

김영사를 둘러싼 논란은 지난달 23일 박 전 사장이 김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횡령과 사기 혐의로 고소하면서 불거졌다.

박 전 사장은 고소장을 통해 김 대표가 자신의 형이 운영하는 회사에 채권 회수 조치를 취하지 않고 김영사 자금 35억원을 빌려줘 회사에 손실을 끼쳤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가 김영사 업무를 하지 않으면서도 월급 등의 명목으로 30억원 상당의 돈을 받았다고도 했다. 경영권 분쟁이 벌어진 뒤 김 대표가 보상금 45억원을 준다고 속여 박 전 사장의 회사 경영권을 모두 포기하게 하는 등 285억원 상당을 잃게 만들었다며 고소했다.

박 전 사장은 1989년부터 김영사의 대표이사 사장을 맡아 25년 동안 실질적으로 회사를 이끌면서 연매출 500억원이 넘는 회사로 키워냈다. 첫 밀리언셀러인 1989년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를 비롯해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정의란 무엇인가' 등의 베스트셀러를 만들어내며 출판계의 '미다스의 손'으로 불렸다.

그러나 박 전 사장은 지난해 돌연 사임한 뒤 한국출판인회의 회장직에서도 물러나 여러 의혹에 휘말렸다. 박 전 사장의 사임을 전후로 김영사의 일부 임직원들에 대한 부당해고와 배임·횡령 소송 등이 잇따르면서 경영권을 둘러싼 김 회장과 박 전 사장의 갈등 심화설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김 대표는 김영사의 설립자이자 실소유주다. 지난 1983년 김영사를 세운 뒤 당시 30대 초반이었던 박 전 사장에게 지분과 경영권을 물려주고 자신은 직접 만든 법당에서 종교 생활에 전념해왔다.

박 전 사장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1984년부터 2003년까지 20년 동안 부모님도 버리고 법당에서 숙식을 하며 출퇴근했다. 그 20년 동안 번 모든 돈을 김 대표에게 바쳤다"고 주장했다. 사장직 사퇴 이유에 대해서는 "2014년 3월 주총에서 김 회장이 대표이사 회장이 됐다. 김 회장의 형을 감사로, 법당에서 파견한 신도를 부사장으로 임명했다"며 "새 경영진의 엄포와 협박으로 심장마비에 걸릴 지경이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영사 측은 "박 전 사장의 폭로는 자기 자신의 수백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를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전 사장이 불의한 방법으로 회사에 막대한 손해를 끼쳐 지난해 3월 즈음부터 감사를 받아왔고 이 과정에서 5월 퇴사했다는 것이다.

김 대표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자(박 전 사장)가 본래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설득과 화해를 위한 노력을 해왔는데 결국 고소를 당하게 돼 황당하고 안타깝다"며 "저는 어떤 방식으로도 회사에 손해를 입이지 않았음을 떳떳하게 밝힌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