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부동산레이더]해외건설, 중앙아시아 시장 잡아라

중앙아시아가 최근 국내건설사의 해외수주 '블루오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지난 4월 방한한 호자무하메도프(왼쪽) 투르크메니스탄 석유가스광물자원 부총리와 송치호(오른쪽) LG상사 대표이사, 김위철(오른쪽 두번째)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가 청와대에서 투르크멘바쉬 정유공장 2차 현대화 사업 계약서와 가스액화 플랜트 건설사업 기본합의서에 서명을 하고 인사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부동산레이더]해외건설, 중앙아시아 시장 잡아라

풍부한 천연자원 불구 인프라 부족해 대형 발주 줄이어

올해 수주액 54억4114만 달러...전년 대비 10배 넘을 듯

[메트로신문 김형석기자]저유가와 정세불안 등으로 중동지역의 건설 발주가 줄면서 중앙아시아가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풍부한 천연자원에도 불구하고 시설인프라가 부족해 앞으로도 대형 발주가 이어질 전망이다.

4일 해외건설협회 자료에 따르면 이날 현재 중앙아시아의 올해 수주액은 53억8082만 달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4억3503만 달러)보다 12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대표적으로 중앙아시아에서 많은 수주실적을 올린 업체는 현대엔지니어링이다.

이 업체는 지난 4월 투르크메니스탄 국영석유공사가 발주한 정유공장 현대화사업을 9억4000만 달러에 수주했다. LG상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따낸 이번 사업은 수도 아쉬하바드로부터 서북쪽으로 500㎞ 떨어진 지역에 있는 기존 공장에 휘발유, 경유의 유황성분을 제거하는 설비를 건설하는 공사다.

이어 이 업체는 현지에서 40억 달러 규모의 천연가스 합성석유(GTL) 플랜트 건설 사업도 따냈다. 앞서 지난 2월에는 26억 달러 규모의 우즈베키스탄 칸딤 가스처리시설도 수주했다.

이 밖에도 두산중공업은 지난 1월 카자흐스탄에서 3억달러 규모의 발전소를 수주했고, 한국도로공사는 지난 2월 현지 정부가 발주한 140만달러 규모의 '동서도로 유료화 전략 수립 컨설팅사업'을 수주했다.

국내 업체의 중앙아시아 진출이 잇따르면서 전체 해외수주액 중 이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도 급상승하고 있다.

우리나라 건설사들이 지난 2009년 이 지역에서 수주한 공사는 4억4379만 달러로 전체 수주액 중 0.9%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듬해 19억4227달러로 2.7%로 상승했다. 이후 2011년(5.3%), 2012년(7.3%), 2013년(14.5%)으로 매년 비중이 급상승했다. 올해는 4일 현재 전체 해외수주액 중 20.3%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아시아가 해외 발주처로 각광받고 있는데는 풍부한 천연자원에 비해 노후화된 플랜트 설비가 많기 때문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진출한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우 천연가스 매장량이 세계 4위다. 당국은 이를 활용, 최근 플랜트 산업과 함께 주택·교통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중앙아시아 국가인 우즈베키스탄은 최근 5년 간 국내총생산(GDP)가 평균 8% 이상 성장했다. 경제 성장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지난 2013년 3월 총사업비 65억 달러에 달하는 '2013~2015년 전력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대형 공사를 잇띠리 발주하고 있다. 또 현지 당국은 ▲사업 환경개선 정책 추진 ▲2015년 외국인투자법 개정 ▲세금 감액 등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앙아시아의 경우 지리적인 이점과 풍부한 천연자원, 경제성장 등으로 발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각국 정부와의 협력을 공공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