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건강] 습도 높은 한여름 '건선, 아토피, 안면홍조'주의

에스앤유김방순피부과_여름 반전 피부 질환



[메트로신문 최치선 기자] 30도를 훌쩍 넘기며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고온 다습한 날씨에 땀과 피지 분비량이 늘어나면서 조금만 청결 관리에 소홀해도 피부 트러블이 생기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피부 트러블보다 주의해야하는 것은 여름 날씨를 핑계로 방심하다 증상이 악화될 수 있는 피부질환이다. 무더운 한여름에 방심하기 쉬운 피부질환은 '건선, 아토피, 안면홍조'다.

에스앤유 김방순 피부과 김방순 원장은 "여름철에 사용하는 냉방기기는 겨울 못지 않은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 건선, 아토피, 안면홍조 환자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하며, "그러나 이러한 피부질환이 환절기나 겨울에만 영향을 받는다고 여겨 관리에 소홀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각각의 피부질환을 악화시키는 지름길인 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건선' -에어컨, 건조한 실내 환경이 악화의 원인

건선은 피부 전신에 크기가 다양한 붉은색의 구진이나 발진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발병 부위에는 하얀 비듬 같은 각질이 쌓여 있고, 경계가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주로 팔꿈치, 무릎, 엉덩이, 두피 등에 많이 나타난다. 각각의 발진이 서로 뭉쳐지거나 커지면서 퍼져 심하면 전신으로 퍼지기도 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피부 면역세포의 기능 이상, 유전, 약물 부작용, 피부 자극이나 건조,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 건조는 건선을 악화시킬 수 있는데 여름 내내 틀어 놓는 에어컨 바람 역시 피부 건조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노출이 건선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무작정 햇빛을 많이 쬐면 화상, 기미, 잡티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아토피' - 여름 땀띠와 비슷, 에어컨 바람 쐬면 증상 악화

아토피는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습진 등을 동반하는 만성, 재발성 염증성 피부질환. 주로 유아기나 소아기에 흔히 나타나지만 성인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아토피의 발병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유전적, 경적 요인, 면역 기능 이상, 알레르기,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아토피는 심한 피부 가려움증이 특징으로 피부 건조는 가려움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이에 아토피는 보통 겨울에 더 심해지지만 여름철에 흘리는 땀도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다. 땀을 많이 흘릴수록 더 자극을 받는다. 또한 과도한 냉방 역시 피부 건조를 유발해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아토피는 땀띠와도 헷갈리기 쉬운데 땀띠는 발병 부위를 선풍기나 에어컨 바람을 이용해 건조시키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아토피의 경우, 피부 건조로 인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진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여름에도 피부 보습을 꼼꼼히 해 피부 장벽 강화에 신경 써야 한다.

▲ '안면홍조' - 높은 기온과 강한 자외선에 의한 혈관확장으로 유발, 악화

안면홍조는 다른 사람보다 얼굴이 더 쉽고, 심하게 빨개지고, 오랫동안 빨간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다. 이는 피부 속 혈관에 따라 좌우된다. 피부 속 혈관은 자율신경의 조절을 받아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여러 원인에 의해 자율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가 높아지면서 얼굴이 빨개진다. 보통 안면홍조는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만 심해진다고 생각하지만 요즘 같은 여름철에도 심해질 수 있다. 더위로 인해 높아지는 피부 온도, 강한 자외선은 피부 속 혈관 확장시켜 안면홍조를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확장된 혈관을 방치하면 점점 더 혈관이 늘어나면서 피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거나 다른 부위의 혈관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건선, 아토피, 안면홍조는 여름이라고 안심하다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는 만큼 여름에도 관리에 꼼꼼하게 신경 써야 한다. 무엇보다 여름 내내 사용하는 선풍기, 에어컨 등의 냉방기기는 건조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이는 곧 피부 건조로 이어져 피부 질환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여름에도 피부 보습 관리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목욕을 너무 자주 하거나 장시간 하는 것은 피부 건조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벼운 샤워 위주로 하는 것이 좋고, 때수건으로 건선의 껍질을 억지로 벗기거나 아토피 부위를 억지로 미는 것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절대 금물이다. 땀이 많이 나서 아토피 피부염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땀을 잘 씻어내야 하기 때문에 잦은 샤워시 가능한 비누칠을 하지 말고 물로만 샤워를 해 땀을 닦아 주는 것이 좋다. 더불어 안면홍조 환자라면 피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반신욕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 도움말: 에스앤유 김방순 피부과 김방순 원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