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복현명기자] 국내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자 '자본론'과 아담스미스의 '국부론' 번역자인 김수행 전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타계한 이후 수도권 대학들은 주류경제학을 비판할 교원이 부족해 마르크스경제학(정치경제학) 명맥이 단절될 위기에 놓였다.
16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전·현직 교원중 김 교수와 같은 마르크스경제학을 전공한 교원은 없는 상황이다.
마르크스경제학은 일체의 경제행위는 언제나 사회적 관련 밑에서 이루어져 인간은 그 경제와 행위에 의해 사회화되고 행동이나 의욕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변증법적 유물론 ▲자본축적론 ▲노동가치설 ▲궁핍화이론 ▲농업의 이론 ▲자본주의 붕괴론 등으로 인간의 경제활동을 설명한다.
앞서 지난 1989년 김 교수가 서울대 부임시 교수사회 반대에 부딪혀 임용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을 때 학생들이 진보 경제학을 배우고 싶다는 강력한 요구로 가까스로 임용된 바 있다.
이어 2008년 서울대에서 퇴임시 학생사회에서는 학문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르크스경제학 전공자를 후임으로 뽑아야 한다는 성명까지 발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현재 서울대를 포함한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전·현직 교원 중 마르크스경제학을 전공한 사람은 거의 없다.
서울대 경제학부의 경우 정교수와 부교수를 합친 전임 교원 33명의 전공은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계량경제학 ▲노동경제학 등으로 영국 옥스퍼드대·호주 울런공대·서울대 각각 한 명씩을 제외하면 전부 시카고대·예일대·하버드대 등 미국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하지만 성공회대·경상대·한신대 정도가 마르크스 경제학 전공자들을 간혹 배출하고 있다.
이에 김세균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는 "마르크스경제학은 현 자본주의 시스템의 구조적 모순과 문제를 고찰하는데 서울대가 김 교수 이후 전공자를 충당하지 못한 것은 최소한의 균형성을 갖추지 못했다"며 "각 대학에서 정치경제학 학자를 주류경제학 전공자와 같은 기준으로 심사하면 안되고 다른 기준을 제시해 전공자를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