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오피스'(감독 홍원찬)는 어느 평범한 회사원의 가족 살해 사건을 소재로 한 스릴러 영화다. 직장이라는 일상적인 공간을 공포의 무대로 삼아 긴장과 서스펜스를 만들어내 호러영화 같은 분위기도 자아낸다.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면 이상하게 마음 한 구석이 아프다. 영화 속에서 벌어지는 인물들의 참혹한 이야기가 남일 같지가 않아서다.
영화는 어느 회사의 영업부 직원들이 이야기를 그린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그런 조직이다. 실적과 매출만으로 직원을 평가하는 부장이 있고, 그런 부장에게 잘 보이기 위해 안간 힘을 다하는 대리가 있으며, 눈치껏 대충대충 일하려는 사원들이 있다. 이들 사이에서 묵묵히 맡은 일만 열심히 하는 과장, 그리고 정규직이 되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는 인턴 등이 바로 '오피스'의 주인공이다.
사건은 김병국(배성우) 과장이 일가족을 살해하고 종적을 감추면서부터 시작된다. 경찰이 수사에 나서지만 직장 동료들은 하나 같이 입을 모아 "믿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 "책임감 강하고 고분고분하며 일밖에 몰랐던" 김병국 과장이 가족을 죽일 리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충격적인 사건이지만 그럼에도 영업부 직원들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일을 한다. 단 한 사람, 김병국 과장을 잘 따랐던 인턴 이미례(고아성)만이 사무실 안에 생겨난 작은 균열을 예감할 뿐이다.
묵묵히 일하며 번듯한 집과 가족을 꾸리며 살아가던 평범한 가장이 무엇 때문에 이토록 끔찍한 일을 저질렀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영화의 긴장감도 바로 이 질문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오피스'는 그 대답을 주변 인물들로부터 찾아간다는 점에서 보통의 스릴러 영화와 다르다. 영화가 김병국 과장보다 사건을 대하는 동료 직원들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는 이유다. 그리고 여기에 영화의 진짜 메시지가 숨겨져 있다.
영화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장면들로 가득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김병국 과장이 이미례에게 서랍 속에 숨겨진 칼을 보여주는 신이다. 김병국 과장은 말한다. "칼을 손에 쥐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이 마치 묵주와도 같다"고 말이다. 일련의 사건 속에서 영업부 직원들은 하나 둘 죽거나 사라진다. 그리고 뜻밖의 범인이 등장한다. 정말 더 큰 공포는 범인의 정체에 있지 않다. 바로 회사라는 조직이 평범한 사람들 손에 칼을 쥐게 만들었다는 사실에 있다.
영화 속 인물들은 때때로 현실인지 상상인지 알 수 없는 기묘한 경험을 한다. 그것은 회사라는 조직이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그만큼 엉망으로 만든다는 사실에 대한 은유와도 같다. '오피스'를 보고 나면 마음 한구석에 슬픈 여운이 오래 남는다. 영화보다 더 스릴러 같은 현실이 지금도 회사 어딘가에서는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 15세 이상 관람가. 9월 3일 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