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트로신문 복현명기자] 대학 입시에 가장 중요한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의 '표절'이 심각한 상황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25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제출받은 '2015학년도 입학생 대상 유사도 검색 결과' 자료에 따르면 표절이거나 표절로 의심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는 모두 7623건으로 나타났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표절검사 프로그램은 웹 검색 등으로 자기소개서의 검증 결과 다른 글과 유사도가 5∼30% 미만이면 '의심수준', 30% 이상이면 '위험수준'으로 분류한다.
교사추천서의 경우 20∼50% 미만은 '의심수준', 50% 이상이면 '위험수준'으로 나온다.
2015년 전국 106개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 제출된 자기소개서 38만8309건 가운데 유사도가 5% 이상인 경우는 1271건(0.33%)이다.
이어 경운대, 경일대, 목포대, 원광대 등 10개 대학은 1% 이상이었다.
또 서울에 소재한 경희대(22건), 고려대(10건), 동국대(32건), 서강대(5건), 서울대(19건), 성균관대(23건), 연세대(10건) 등도 표절로 의심되는 경우가 나타났다.
2014학년도 대입에서 유사도가 5% 이상인 자기소개서 1075건(전체 32만460건의 0.39%)에서 별로 개선되지 않은 것이다.
교사추천서의 표절 의혹은 더욱 심각하다.
2015학년 대입 당시 48개 대학에 제출된 교사추천서 16만5107건 가운데 6352건(3.85%)는 유사도가 20% 이상으로 분석됐다.
이에 학생이 대학에 제출하는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의 표절은 대입 전형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대책이 요구된다.
수험생들은 자기소개서가 표절로 의심되면 평가에서 감점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내달 9일부터는 201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의 원서접수가 시작돼 자기소개서를 준비해야 하는 시기다.
안민석 의원은 "입시비리는 다른 사람의 기회를 빼앗는 행위로 엄중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고의적이고 반복적인 부정행위 학교와 교사를 엄벌해야 하고 자기소개서 대필을 부추기는 입시 컨설팅업체도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