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공연/전시

창극의 모던한 진화…국립창극단 '적벽가'

적벽가 적벽대전 장면.사진=국립극장

>

한국 여성 오페라 연출가 이소영 첫 창극 연출작

'2015-2016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 개막작…19일까지 해오름극장

판소리 다섯 바탕 중 가장 호방하고 선 굵은 소리로 사랑받아온 '적벽가'가 창극으로 선보인다.

국립창극단은 정통 판소리의 묵직한 품격을 모던하게 펼쳐낸 '창극 적벽가'를 '2015-2016 국립극장 레퍼토리시즌'의 개막작으로 19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 무대에 올린다.

독특한 미장센과 섬세한 연출력을 인정받아온 한국 여성 오페라 연출가 1호인 이소영의 첫 창극 연출작이다.

자신의 장기인 세련되고 현대적인 무대 위에 오직 '소리'만을 중심에 놓은 이소영 연출은 영웅들의 쟁패 뒤편에서 스러진 이름는 백성들에게도 시선을 던진다. 이 시대의 신의와 정의가 무엇인지 생각할 거리를 남긴다.

작창 및 도창은 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적벽가'의 예능보유자인 송순섭 명창이 맡았다.

음악은 김주현 감독과 협력작곡가 홍정의가 호흡을 맞췄다. 전통악기와 양악기, 이국적 타악기를 조화시켜 선율을 배제한 전혀 새로운 음악을 선보인다.

안무가 박호빈은 모던하면서도 우리 고유의 정서가 물씬 깃든 움직임을 더했다. 특히 전쟁 장면을 격정적이면서도 우아하게 표현해낸다.

극의 흐름에 따라 변형되며 다양한 시공간을 만들어내는 거대한 부채 구조물을 활용한 간결하고 상징적인 무대는 김현정 무대디자이너의 솜씨다.

조명은 대작 뮤지컬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 중인 이우형 디자이너가, 영상은 추봉길 디자이너가 맡았다.

의상을 맡은 이재희 디자이너는 동양적인 의상에 대한 선입견을 뛰어넘은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의상을 통해 적벽가의 이야기가 박제된 옛 것이 아닌 어느 시대에나 있을 수 있는 인간군상의 것임을 상기시킨다.

'적벽가'는 중국 고전소설인 나관중의'삼국지연의' 중 한 사건인 적벽대전을 중심으로 한 판소리다. 다섯 바탕 중 유일하게 중국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19세기 이후 조선시대의 판소리 사설이 정립되면서 한국적인 정서가 스며들었다. 백성을 중하게 생각하는 유비, 의리를 지키는 관우 등 용맹있는 장수 캐릭터를 강조하며 당대 민중이 바라는 영웅의 상을 부각했다.

조조는 적벽대전에서 크게 패해 달아나는 도중 길가의 메추리 날아가는 소리에도 소스라치고 장비를 닮은 장승을 보고 기겁하는 등의 골계적인 인물로 그려졌다. 조조의 부하 정욱은 권력자의 약한 모습을 꼬집으며 풍자하는 방자형 인물로 등장해 판소리적 재미를 더한다.

전투 전날 군사들이 고향에 두고 온 가족들을 생각하며 부르는 '군사설움타령', 전사(戰死)한 군사들이 새가 되어 조조를 탓하며 부르는 '새타령' 등의 대목이 추가돼 오랜 세월 사랑을 받고 있다.

평일 오후 8시, 토요일 오후 3시 공연, 8세 이상 관람가, 2만~7만원. 문의 (02)-2280-4114~6.

창극 '적벽가'.사진=국립극장

>

창극 '적벽가'.사진=국립극장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