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부산 장병호 기자] "저는 영화를 가지고 한국에 왔지만 한국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한국에 왔습니다. 영화제에 오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영화와 이야기입니다. 제 이야기, 그리고 여러분의 이야기가 서로 나눠졌을 때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습니다.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부산에서 만난 하비 케이틀(76)은 어떤 질문이든 정형화된 답을 하려고 하지 않았다. 질문의 의도에 딱 맞아떨어지는 대답보다 질문을 한 사람의 생각이 무엇인지를 궁금해 했다. "모두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는 그의 말처럼 그는 인터뷰가 아닌 대화를 원했다. 70대 노배우에게서 묘한 경외감을 느꼈다.
하비 케이틀은 '비열한 거리' '스모크' '악질 경찰' 등으로 잘 알려진 할리우드의 대표적인 연기파 배우다. 1967년 데뷔한 그는 마틴 스콜세지, 웨인 왕, 리들리 스콧, 쿠엔틴 타란티노, 웨스 앤더슨 감독 등 세대를 넘나드는 명감독과 작업하며 독보적인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는 이탈리아의 차세대 감독인 파올로 소렌티노의 '유스'를 들고 찾아왔다.
2일 오후 부산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에서 만난 하비 케이틀은 "모든 일에는 이유가 있다. 그래서 한국에 늦게 오게 됐다. 많이 늦었지만 그래도 이렇게 한국에 오지 않았나? 이곳에서 많은 걸 경험하고 싶다"며 한국을 처음 찾은 남다른 소감을 전했다.
하비 케이틀은 영화 '유스'에 출연하게 된 이유에 대해 답하기 전에 개개인이 지닌 이야기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제가 연기한 캐릭터를 직접 설명하는 것보다는 영화를 본 사람이 제가 연기한 캐릭터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게 더 좋을 것 같다. 그렇다면 훨씬 더 개인적인 교류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자가 지닌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서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도 했다.
이야기의 공유는 하비 케이틀로 하여금 꾸준히 영화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 원동력이었다. 그는 "어릴 적 브룩클린에 살면서 다른 예술을 생생하게 체험하게 해준 것이 바로 영화였다"며 "브룩클린 다리를 건너 맨해튼으로 갔을 때 그곳에서 놀라운 아티스트를 만났다. 그리고 그들과 인생을 공유할 수 있었다. 그것이 지금 내가 여기에 '유스'라는 영화와 함께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남다른 필모그래피로 성공적인 연기 인생을 살아온 만큼 스스로 꼽는 인생의 영화, 그리고 명감독과의 작업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하비 케이틀은 이같은 질문에 "좋은 질문"이라며 확답을 피했다. 어떤 배우로 불리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에는 "'저녁에 늦는 배우' 같은 말로 불리고 싶지는 않다"는 농담과 함께 "내가 죽기 전 전화를 걸어 '하비 케이틀'하면 뭐가 떠오르는지 직접 말해달라"고 재치 있게 답했다.
첫 한국 방문을 통해 하비 케이틀은 "많은 자각과 경험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그는 "이번에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것은 한국 문화에 익숙해지기 위한 첫 번째 단추"라고 말했다. 또한 "국제영화제, 그것도 부산에서 열리는 이 영화제는 모든 이야기가 모이는 중요한 곳"이라며 "이런 자리를 만든 김동호 위원장을 진심으로 축복하고 감사하고 싶다"고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