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시설의 노후화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서울메트로가 안전투자비용 마련을 위한 재정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29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성동구 용답동 서울교육문화센터에서 '서울메트로 안전관리 현황 및 발전방향'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각계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다고 28일 밝혔다.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의 주요 시설인 송·배전선 중 기대수명 25년이 지난 전선은 619km이며 이는 전체의 31%에 달한다.
재투자가 시급하지만 2022년까지 서울메트로만 3조원이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돼 운영기관의 자체 조달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형편이다.
메트로는 서울 지하철이 개통 후 40년이 지나 본격적으로 노후시설 재투자 시기가 도래했으나 수송원가의 70% 수준에 불과한 운임 구조와 해마다 늘어나는 무임수송 등으로 만성적자에 시달려 재정난을 겪고 있다.
지난해 노인 무임승차에 따른 서울메트로의 손실액은 1740억원으로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 1587억원보다 많았다.
서울메트로는 내진 설계 기준 등 정부와 서울시의 안전관리 기준이 강화되면서 시설 보강에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4호선은 내진 기준이 마련되기 전 건설돼 53.2km 구간의 보강이 필요하지만 보강 공사가 끝난 곳은 1km에 불과하다.
이번 세미나에는 김시곤 서울과기대 철도전문대학원장, 조명래 단국대 교수, 양근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원장 등 9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3시간 동안 토론을 벌인다.
승강장 안전문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도 참석해 지난 8월 2호선 강남역에서 발생한 유지보수업체 직원 사망사고의 후속 대책으로 필수안전업무 직영화와 자회사 전환의 필요성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