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동부·한진·신세계·LG·GS 계열사, 장애인 고용 저조



[메트로신문 유선준 기자]동부·한진·신세계·LG·GS 등 대기업 계열사들의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와 한국거래소 등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도 낮아, 장애인 의무고용 정책의 엄격한 집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용노동부는 2014년 12월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낮은 국가·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615곳의 명단을 28일 발표했다.

공표 대상은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이 1.8% 미만이거나 장애인 근로자(비공무원) 고용률이 1.35% 미만인 국가·자치단체, 장애인 고용률이 1.8% 미만인 공공기관, 1.35% 미만인 민간기업이다.

고용부는 올해 4월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 1천120곳을 선정, 공표 대상임을 알리고 장애인 의무고용을 이행토록 지도했다.

그 결과 172개 기관이 장애인 1천157명을 신규 채용하는 등 시정에 나섰으나, 최종 명단 공표대상에 포함된 615곳은 끝내 장애인 고용 확대 조치를 하지 않았다.

총 615곳 중 민간기업은 588곳이다. 올해 4월 발표 때보다 187곳이 줄었다.

규모별로는 300∼499명 사업체 257곳, 500∼999명 사업체 204곳, 1천명 이상 사업체 127곳이다.

30대 그룹에서는 동국제강, 두산, 롯데, 삼성, 한화, 현대차, 에쓰오일 등 7개 그룹을 제외한 23개 그룹의 계열사 56곳이 포함됐다.

공표 대상에 4개 이상 계열사가 포함된 그룹은 동부, 한진, 신세계, LG, GS 등이다.

동부그룹은 동부증권, 동부건설, 동부생명, 동부팜한농, 동부메탈, 동부하이텍, 동부엔지니어링 등 7곳이 포함됐다. 한진그룹은 대한항공, 한진해운, 진에어, 한진정보통신, 싸이버로지텍 등 5곳이 포함됐다.

신세계, LG, GS그룹은 각각 4곳이 포함됐다. 30대 그룹 계열사 중 GS리테일, 대한항공, 미래에셋생명 등 55곳은 2회 연속 명단에 들었다.

명단 공표제도가 시작된 2008년부터 12회 연속 명단에 포함된 기업은 엘브이엠에치코스메틱스, 에이에스엠엘코리아, 휴먼테크원, 지오다노 등 4곳이다.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기관은 서울시립교향악단, 실리콘웍스(LG그룹), 부루벨코리아, 프라다코리아, 스와로브스키코리아 등 45곳이다.

국가·자치단체는 국회와 8개 교육청(서울·인천·대구·부산·세종·경기·충남·전남) 등 9곳이 포함됐다.

공공기관은 한국거래소, 한국국방연구원, 아시아문화개발원, 서울시립교향악단 등 18곳이 포함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채우지 못한 기관은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내도록 하는 등 제재하고 있지만, 적합한 인재 충원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이를 꺼리는 기관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정부, 자치단체, 공공기관이 3.0%, 민간기업은 2.7%다.

장애인 고용 저조기관 명단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www.kead.or.kr), 관보 등에서 볼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