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기고] "우리문화유산 제대로 알리는 게 가장 큰 보람"

정환선 창덕궁 해설사.



궁궐 해설 차 입궐하면 늘 그러하듯이 마음이 포근하고 편안하다. 그리고 해설할 때 관람객이 많으면 다소 번잡하긴 하지만 문화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감사하고 즐겁다.

서울 도심에 자연의 숲이 오랜 기간 잘 보존되어 있는 창덕궁 후원에 들어서면 300년 넘은 고목에서 뿜어져 나오는 피톤치드 내음이 언제나 기분을 상쾌하게 한다. 이렇듯 후원 숲속에서 관람객과 함께 정자와 연못을 거닐며 힐링 이라는 호사를 누린다는 것은 정말 기분 좋은 일이다.

요즘 들어 관람객 분들은 궁궐에 오시기 전 각종 매체를 통해 미리 공부를 하고 오시는 분들이 많아 해설사들은 더많은 사전학습를 하고 해설에 임해야 한다.

어떤 관람객은 자세히 보충 설명을 도맡아 해 주는 분도 있어 오히려 해설사가 한 수 배우는 경우도 있다.

창덕궁 문화해설사(궁궐길라잡이)는 궁궐해설을 위해서 장기간의 전문적인 궁궐 교육과 현장 실습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봉사 헌신하는 정신과 해설에 대한 열정 보람 그리고 성실함이 없으면 안된다. 대학생 직장인 교사 은퇴자 등등 종사하는 일은 매우 다양하지만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재 알리기에는 모두가 한마음이다. 현재 창덕궁에서 일하고 있는 문화해설사는 서울, 수도권에만 거주하는 게 아니다. 예약된 하루 자원봉사 시간을 맞추기 위해 멀리는 제주도. 부산에서, 가까이는 대전. 오산 등에서 자비를 들여 달려와, 성실함과 열정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이다.

궁궐길라잡이는 5대 궁궐과 종묘을 찾는 내외국인에게 궁궐의 역사와 가치를 설명하며, 우리 문화유산과 문화재에 대한 올바른 시각과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보존하는 자원봉사자이자 궁궐과 종묘 전문 문화유산 해설사다.

일제는 대한제국을 영구히 식민지화 하려고 궁궐을 동물원으로, 전각을 부수는 등 수많은 문화재 훼손행위를 자행 해 민족정기 말살정책을 시도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그중 대표적인 사례가 궁궐 훼손이다. 궁궐길라잡이 분들은 이렇게 비뚤어지고 왜곡되어진 사실을 바로잡아 알리기도 하고 1997년 12월 UNESCO 세계유산위원회가 5대 궁궐 중 유일하게 자연지형과 조화를 이룬 창덕궁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다는 이야기도 해설로 곁들인다.

궁궐길라잡이는 1999년 서울KYC에서 출범한 민간 주도 시민참여형 조직이다. 2013년 5월부터는 비영리 민간단체인 '우리문화숨결(www.palaceguide.or.kr)'이라는 단체명으로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300여명이 5대 궁궐과 종묘에서 해설과 안내 활동 중이며 앙상하게 궁궐 터만 남아있던 경희궁을 "경희궁 해설로 복원합니다"라는 케치프레이즈 아래 복원에 노력을 박차하고 있다.

춥고 덥고 때로는 비가 오는 날씨에도 궁궐과 종묘에서 아무런 대가 없이 마음을 활짝 열고 해설로 땀 흘리며 웃음으로 자원봉사하는 이들에게 따스한 박수와 찬사를 보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