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특별시 서울' 모바일·SNS 중심으로 소통
재난발생 신속 대응…소상공인 경쟁력 강화
서울시가 모바일·SNS 중심으로 소통하는 '소셜특별시 서울'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17일 서울시는 소셜미디어(SNS)를 공공 커뮤니케이션으로 실현하는 행정 도구로 전면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시민의 시정 참여와 민관협력을 확대·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2017년까지의 서울시 중장기 소통전략에 대한 청사진으로 ▲소셜미디어 중심 행정체계 강화 ▲시민과의 소셜협력기반구축 ▲소셜미디어 활용으로 시민 삶 지원이라는 3대 정책목표로 구성돼있다.
전세계적으로 SNS 이용자 수가 지속 증가 추세인 가운데 국내 보급률은 59.0%다. 이는 아시아 국가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시는 'SNS 그룹채팅방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내부 행정체계 내에서의 재난안전 대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소통을 위해 서울시 내부 관련 부서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채팅방을 개설해 오고 있는 가운데 가이드라인을 체계화한다.
이에 따라 서울시 공문서와 직원 명함에는 기존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함께 부서별 SNS 계정도 명기된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SNS 전문교육도 실시한다.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현재 115개 부서, 150개 SNS 계정은 전문 평가기관의 용역을 거쳐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계정을 통·폐합한다.
이밖에도 시는 SNS와 모바일을 활용한 소상공인 및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소상공인의 모바일 쇼핑몰을 네이버쇼핑과 연동해 온라인 판로확대를 지원하고 소상공인 홍보 역량 강화를 위해 '모바일 활용 홍보교육'도 무료로 실시한다. 또 소상공인과 사회적기업에게 네이버 모바일 홈페이지 제작 도구도 지속 제공할 에정이다.
서울시는 즉시 실행 가능한 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순차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황보연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소셜특별시 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SNS가 단순한 소통의 영역을 넘어 공공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며 "SNS를 활용해 시민과 함께 시정과제를 풀어나간다면 디지털 소통시대에 괄목할만한 행정혁신 사례이자 롤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