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의 서정 대표이사가 18일 오후 CGV 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 참석해 올해의 글로벌 성과와 2020년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CJ CGV
[메트로신문 장병호 기자] 국내 1위 극장기업인 CJ CGV가 2020년까지 글로벌 1위 극장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CJ CGV는 18일 오후 CGV 청담씨네시티에서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을 개최하고 올해의 글로벌 성과와 2020년 비전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는 CJ CGV의 서정 대표이사의 발표로 진행됐다.
CJ CGV는 2006년 중국 상하이에 해외 1호점을 열고 해외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이후 미국·베트남·인도네시아·미얀마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지난달 23일에는 중국 청두에 해외 100호점인 CGV 청두 롱후진난을 열었다. 또한 베트남 하노이와 인도네시아 치르본, 중국 이씽·루저우·창사 등에 순차적으로 극장을 개관해 현재까지 총 105개의 해외 극장을 확보했다.
또한 올 연말까지 해외 극장 수를 118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내년 1분기 중에는 해외 극장 수가 국내 극장수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말 해외 극장수가 49개에 지나지 않았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2년 동안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셈이다.
CJ CGV가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까지 넘보는 것은 문화산업이 미래 경제 성장의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해외 시장에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두각을 나타냈던 한국 경제는 최근 중국의 대두로 위기에 처해 있다. 문화산업이 이와 같은 위기의 타개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극장 사업이 포화 상태에 이른 것도 해외 시장 개척의 필요성으로 여겨진다.
이에 CJ CGV는 2020년까지 총 스크린 수 1만개에 관객수 7억명을 자랑하는 '글로벌 1위 컬처플렉스'가 되겠다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CJ CGV가 자체 개발한 4DX·스크린X·스피어X 등 새로운 영화 상영 기술로 해외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꾀한다. 그리고 한·중영화제, 한·인니영화제, 한·베트남영화제 등을 통해 한국의 문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해외에 전파할 계획이다. '토토의 작업실' '찾아가는 영화관' 등 사회 공헌 활동으로 현지 영화산업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서정 대표이사는 "왜 해외 1위가 비전인지 궁금할 수도 있다. 하지만 왜 1등을 하면 안 되는지 묻고 싶다. 한국에도 많은 글로벌 기업이 있다. 그런데 문화산업에서 전 세계 1위를 할 수 있는 한국의 글로벌 기업이 나온다면 어떨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전 세계에서 통용 가능한 콘텐츠로 승부를 건다. 그래서 극장이 필요하지가 않다. 하지만 한국은 이야기가 다르다. 해외에 극장이 없다면 한국 영화가 진출하는 것도 쉽지가 않다"며 "'K팝' 'K드라마'라는 말은 있지만 'K무비'라는 말은 없다. 영화를 해외에 수출하고 있지만 존재감은 아직 없다. 'K무비'라는 말이 쓰일 수 있게 CGV가 그 역할을 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정 대표이사는 "CJ CGV의 강점은 '지속적인 진화'다. '어제보다 더 나은 CGV가 되겠다는 자세로 일하는 것'이다. 더 개선할 것이 없을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이 다른 글로벌 극장기업보다 나은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