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용산구 용산2가동 일대 '해방촌'을 활성화할 '마중물 사업' 8개를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해방촌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안)'을 기반으로 해방촌 주민과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 해방촌만의 특성화된 도시재생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계획안에는 ▲신흥시장 활성화 ▲공방·니트산업 특성화 지원 ▲해방촌 테마가 조성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녹색마을 만들기 ▲주민역량 강화 ▲마을공동체 규약 ▲주민공동이용시설 조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역주민 조직인 '해방촌 도시재생 주민협의체'가 중심이 돼 사업이 선정됐다. 신흥시장 활성화 사업을 통해 신흥시장의 낡은 슬레이트 지붕을 공중개방형으로 바꾼다. 신흥시장이란 흔한 이름 대신 '해방촌 시장'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안도 검토 중이다.
해방촌 대표산업이었던 니트(편직)산업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예술 공방으로 변모한다. 시는 '해방 아트마켓'을 조성하고 해방촌의 특성화 된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지리적 특성을 활용한 '해방촌 테마가'로 ▲남산가는 골목길(용산공원, 이태원~해방촌~남산) ▲역사문화 탐방로(108계단~모자원~신흥시장~남산) ▲HBC먹자골목(경리단길~해방촌) ▲해방촌 생활가로(해방촌의 주도로인 신흥로) 등이 조성된다.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협했던 위험환경도 정비한다. 20년 이상된 노후주택과 파손된 도로, 계단, 옹벽 등이 정비 대상이다. 소월로~오거리 급경사로에는 등나무 캐노피를 설치해 겨울철 빙판길 사고를 방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해방촌의 생활녹지를 확보하기 위해 담장을 허물고 화단과 작은 쉼터도 마련한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공모사업과 주민교육을 실시해 해방촌만의 공동체 문화를 만들고 주민역량을 강화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마을공동체 규약을 만들어 주민갈등도 조정한다. 규약에는 임대료, 쓰레기 배출, 생활소음, 주차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도시재생이 안정적으로 추진되도록 주민공동이용시설 2개소가 설치된다.
장기간 준비가 필요한 골목길 주차장 확충, 전선 지중화, 소방도로 확보 등 20여개 사업은 '협력 사업'으로 분류해 중앙정부, 용산구와 협의를 거쳐 활성화 계획에 포함한다.
시는 12월 3일 용산2가동 주민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설명하는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활성화 계획안의 마중물 사업은 도시재생위원회 심의 등 법정절차를 거친 후 추진돼 2018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해방촌은 서울형 도시재생이 선도적으로 추진될 13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한 곳으로 지난 18일 선정됐다. 재생이 시급하지만 자생적 변화가능성이 낮아 공공의 통합지원이 필요한 곳으로 4~5년에 걸쳐 최대 100억원 이상의 마중물 사업 지원을 받는다.
김성보 시 주거사업기획관은 "주민 스스로 계획수립부터 실행단계까지 참여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본래 취지"라며 "주민이 만든 사업계획을 보완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을 도와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