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강남 가는 길 뻥 뚫린 광명·시흥 집값 '高高'

'골드라인 수혜+개발 호재' 겹경사

전매제한 풀린곳, 웃돈 8천만원 붙어

강남순환도로 노선도



서울 금천구 시흥동에서 서초구 우면동을 잇는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이하 강남순환도로) 개통이 임박하자 인근 부동산시장이 들썩거리고 있다.

강남순환도로는 금천영업소(서울 금천구 시흥동)~관악IC~사당IC~선암영업소(서울 서초구 우면동)를 잇는 12.4km를 잇는 민자도로다. 2007년 착공에 들어가 내년 5월 완공을 앞두고 있다.

순환로 개통과 더불어 수도권 서남부는 ▲광명역세권·시흥목감 등 택지지구 조성 ▲이케아,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등 편의시설 확충 ▲광명역세권지구·서울 독산동 복합단지 개발 ▲광명 철산동 사업 활기 등 개발 호재가 추가로 쏟아지고 있다. 이에 수도권 집값 상승을 주도하며 분양권에 웃돈(프리미엄)이 붙고 있다.

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1월까지 광명시 집값은 11.33% 올라 위례·미사지구 개발로 물이 오른 하남시를 제치고 '경기도 집값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서울 대표적인 집값 하위지역인 금천구도 롯데건설이 독산동에 4400여 가구 공급하는 복합단지 개발 기대감에 같은 기간 5.75% 올랐다. 이외에도 강남순환도로 인근 지역인 서울 관악구는 5.57%, 경기 안양시는 6.86% 등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말부터 순차적으로 분양권 전매제한(주택 취득 권리를 사고 파는 것)이 풀린 광명역세권지구 아파트 분양권에는 6000만~8000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 복합단지도 전용면적 84㎡를 기준으로 분양권 시세가 최고 6000만원까지 형성된 상태다.

집값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잇따른 개발 호재에 따른 차익 실현 기대감이 높아 기존아파트와 신규분양아파트를 불문하고 '사자' 행렬이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강남순환도로 개통은 수도권 서남부 수요자의 강남 출·퇴근 시간 단축은 물론 남부순환도로의 정체가 분산한다는 점에서 지역 부동산시장을 달구는 대어급 호재로 여겨지고 있다"며 "집값이 저평가됐지만 풍부한 개발재료로 주거환경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실수요자라면 수혜지역을 적극적으로 노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광명·시흥지역 미래가치에 건설사들이 토지 선점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광명역세권 택지개발지구 주상3블록에 공급하는 '광명역파크자이2차' 견본주택을 10일 열고 본격적으로 분양에 들어간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40층, 8개동, 아파트 1005가구, 오피스텔 437실로 구성된다. 아파트는 전용 59~124㎡(펜트하우스 포함), 오피스텔은 전용 22~36㎡ 규모다. 주상3블록은 KTX광명역과 축구장 20배 규모의 생태공원 새물공원(2017년 준공예정) 사이에 있어 광명역세권지구 내에서도 노른자위로 평가받는 곳이다. KTX, 지하철 광명역을 비롯해 내년 수원~광명고속도로(예정), 신안산선(2023년 예정) 개통 등 교통 호재도 잇따른다.

호반건설은 시흥 목감지구 C1블록에 '시흥 목감 호반베르디움 3차'를 이달 분양한다. 전용면적 102㎡, 119㎡, 415가구로 구성된다. 호반건설은 일대에 이미 분양 완료한 1차 B4블록(580가구)·2차 B7블록(766가구)와 함께 1761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을 형성할 예정이다. 단지 인근 목감 IC를 통해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제3경인고속도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목감역(예정) 접근성은 더욱 개선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