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이 1년여 만에 하락했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2월 둘째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주간 변동률이 0.04% 하락하며 지난해 12월 말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주간변동률을 기록했다. 겨울철 비수기에 매수세가 줄었고 대출규제나 공급과잉 우려 등으로 투자수요가 관망세로 돌아선 영향이다. 상승 흐름을 유지하는 일반아파트도 국지적인 조정을 보였다. 매매수요가 감소한 신도시는 0.01% 하락했고, 경기·인천은 보합세(0.00%)를 유지했다. 서울 일반아파트는 매매수요가 감소하고 있지만 중소형 입주물건을 찾는 매수세로 오름세(주간0.05%)를 이어갔다. 일반아파트의 상승으로 서울 전체 아파트값은 주간 0.03% 변동률을 나타냈다.
전세시장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수요 움직임이 적었다. 서울만 국지적인 거래 영향으로 이번주 전세가격이 0.17%했고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2%와 0.03%로 전셋값 변동폭이 크지 않았다.
지역별로 서울은 ▲송파(0.11%) ▲양천(0.11%) ▲은평(0.10%) ▲금천(0.08%)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송파는 중소형 면적 입주물건을 찾는 문의가 이어졌다.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문정동 래미안,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등이 이번주 500만~3000만원 가량 올랐다. 양천은 재건축을 기대하는 투자수요와 실수요가 겹치면서 목동 목동신시가지1단지, 목동신시가지4단지 등이 1000만~4000만원가량 오름세를 나타냈다. 은평은 진관동 은평뉴타운제각말푸르지오, 불광동 라이프미성 등 중소형면적이 500만~1000만원 정도 올랐다.
반면 서대문과 강동은 각각 0.03% 하락했고 중구는 0.02%, 강남은 0.01% 하락했다. 서대문은 남가좌동 남가좌삼성이 1500만원 가량 하락했고, 강동은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와 3단지가 500만~1000만원 내림세를 보였다. 중구는 중림동 삼성싸이버빌리지 중형면적이 1000만원 정도 떨어졌다. 강남은 개포동 주공1단지와4단지, 대치동 한보미도맨션2차 등이 500만~1000만원 가량 하락했다. 매수세가 줄면서 매매가격이 하락세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신도시도 매매물건을 찾는 문의가 눈에 띄게 줄면서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주간 매매가격이 0.01%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분당(-0.04%) ▲평촌(-0.01%) ▲산본(-0.01%) 위주로 약세를 보였다. 분당은 야탑동 탑선경, 서현동 효창대우 대창 등이 500만~1000만원 가량 내렸다. 평촌은 평촌동 초원한양이 500만원 가량 하락했고, 산본은 산본동 을지한진이 500만원 가량 매매가격이 하향 조정됐다.
경기·인천은 ▲시흥(0.05%) ▲광주(0.04%) ▲의정부(0.03%) ▲파주(0.03%)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시흥은 전셋집을 구하지 못한 실수요가 매매로 돌아서면서 은행동 성원, 대야동 우성2차 등이 300만~500만원 가량 올랐다. 광주는 초월읍 금강아미움, 장지동 금광포란재가 500만~1000만원 가량 오른 가격에 거래됐다.
의정부는 민락동 청구1차, 금오동 거성 등이 250만~750만원 가량 올랐다.
서울 주요 지역 주간 전셋값 변동률./부동산114
한편 평택 매매가격이 0.03% 하락한 것을 비롯해 용인(-0.02%)과 구리(-0.02%), 광명(-0.01%)도 매수세가 줄면서 하락세가 이어졌다. 평택은 소사동 SK뷰가 이번주 500만~2000만원 가량 떨어졌고, 용인은 중동 서해그랑블2차, 상현동 상현서원1 2차, 상하동 대우 등이 250만~1500만원 가량 하락했다. 구리 교문동 구리두산, 광명 하안동e편한세상센트레빌, 주공10단지 등은 250만~500만원 가량 매매가격이 하향 조정됐다.
이번주 서울 전세는 ▲양천(0.79%) ▲송파(0.26%) ▲강서(0.23%) ▲중랑(0.23%) ▲노원(0.21%) ▲중구(0.20%)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양천은 간혹 나오는 전세매물이 크게 오른 가격에 계약이 이뤄지면서 전셋값을 끌어 올렸다. 목동 목동신시가지4 5단지,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4단지 등이 1500만~5000만원 가량 올랐다.
송파는 문정동 문정래미안, 시영, 현대1차 등이 250만~3500만원 가량 올랐다. 강서는 화곡동 우장산IPARK e편한세상, 염창동 삼성관음 등이 1500만~2500만원 가량 오름세를 나타냈다.
신도시는 ▲산본(0.09%) ▲평촌(0.04%) ▲일산(0.03%) ▲판교(0.03%) ▲분당(0.01%) 순으로 상승했다. 산본은 산본동 세종주공6단지가 500만원 정도 올랐고, 평촌은 초원부영이 250만~500만원 정도 상승했다. 일산은 주엽동 문촌18단지대원이 1000만원, 판교는 판교원마을9단지가 500만원 정도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시흥(0.10%) ▲고양(0.07%) ▲수원(0.07%) ▲안산(0.07%) ▲의왕(0.07%) 순으로 올랐다. 시흥은 전세입자들이 매매로 돌아서고 있지만 전세매물은 여전히 부족하다. 은행동 성원, 대야동 우성2차, 정왕동 동원 등이 500만~1500만원 가량 올랐다. 고양은 중대형면적 중심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덕이동 하이파크시티일산IPARK1단지, 탄현동 큰마을현대대림 등이 500만~1500만원 가량 올랐다. 수원은 영통동 청명벽산, 권선동 IPARK시티3단지 등이 500만~2000만원 가량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기 영향으로 전세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평택, 이천, 성남, 남양주는 이번주 전셋값이 0.01% 하락했다. 평택은 비전동 한빛경남선경이 500만원, 이천은 증일동 현대홈타운 전셋값이 250만원 가량 떨어졌다. 성남은 중앙동 힐스테이트 1·2차 소형면적이 1000만원, 남양주는 진접읍 진접센트레빌시티1·2단지가 500만~1000만원 정도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