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맷값 상승폭 0.02% 불과…올해 가장 낮아
재건축 변동률 0.09% 하락…2주째 내리막길
금융당국이 내년 2월부터 은행이 주택담보대출을 내줄 때 심사를 강화하는 '여신(주택담보대출) 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뒤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더욱 싸늘해진 분위기다. 12월 3주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02%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출 규제 발표 영향으로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시장은 거래 부진으로 0.09% 하락해 2주 연속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냈다. 신도시 매맷값은 0.01% 상승했고 경기·인천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전셋값은 서울 0.13%, 신도시 0.01%, 경기·인천 0.02%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수요의 움직임이 한산한 가운데 전세 매물 출시가 연기되면서 국지적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서울 매맷값은 성동이 0.13% 올라 가장 높았고 ▲영등포 0.08% ▲강서 0.07% ▲마포 0.07% ▲은평 0.06% ▲양천 0.04% ▲금천 0.03% ▲노원 0.02% ▲도봉 0.02% ▲동작0.02% ▲서대문 0.02% 순으로 이어졌다.
반면 강동과 관악은 각각 0.11%, 0.01% 하락했다. 성동은 하왕십리동 텐즈힐이 2500만원 상승했다. 입주가 거의 마무리된 가운데 하한가의 저가 매물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영등포는 신길동 삼환이 2000만원, 양평동5가 한신이 250만원 가량 올랐다. 직장인 수요로 거래가 이뤄졌다. 강서는 등촌동 미주진로가 1500만원, 화곡동 일성스카이빌이 250만~1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 매맷값 상승률은 광교가 0.06%로 가장 높았고 ▲일산 0.02% ▲분당 0.01% ▲평촌 0.01% 순으로 이어졌다. 중동은 0.01% 하락했다. 광교는 이의동 광교한양수자인이 15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서울 광역버스 정류장이 가까워 선호도가 높은 가운데 신분당선 연장선 개통 수혜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일산은 주엽동 문촌18단지대원이 저렴한 매물 소진 이후 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평촌은 평촌동 초원한양이 250만원 올랐다. 매수문의가 많지는 않지만 매물 또한 귀한 상황이다. 분당은 구미동 무지개LG가 250만원 가량 상승했다. 가격이 높아진 이후 수요의 문의가 줄었지만 실수요 위주로 간헐적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 한편 중동은 상동 한아름동아가 매수 수요 감소로 인해 250만~500만원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화성 매맷값이 0.06%로 가장 많이 올랐고 ▲안산 0.03% ▲의정부 0.03% ▲광명 0.02% ▲안양 0.02% ▲광주 0.02% 순으로 이어졌다. 화성은 중소형 면적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실수요가 꾸준하다. 반월동 신동탄SK뷰파크가 250만~750만원 가량 올랐다. 안산은 사동 안산고잔7차푸르지오가 500만원, 고잔동 라성이 100만~250만원 상승했다. 전세 매물이 여전히 부족해 즉시 입주 가능한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다. 의정부는 호원동 현대IPAK가 1000만원, 민락동 청구1차가 750만원 가량 올랐다.
지역별 전셋값은 서울의 경우 구로가 0.32% 상승해 가장 높았고 ▲강남 0.31% ▲용산 0.28% ▲양천 0.19% ▲서초 0.16% ▲영등포 0.16% ▲광진 0.15% ▲노원 0.12% ▲송파 0.11% ▲은평 0.11% 순으로 상승했다. 구로는 개봉동 한마을이 면적별로 500만~3000만원 상승했다. 2000가구에 달하는 대규모 단지임에도 전세 매물 찾기가 쉽지 않다. 강남은 도곡동 도곡렉슬이 1000만~5000만원, 도곡동 래미안도곡카운티가 2500만~5000만원 올랐다. 전세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매물 자체가 워낙 귀하다 보니 가격이 상승했다. 용산은 신계동 e편한세상이 1000만~5000만원, 이촌동 현대한강이 2000만~2500만원 올랐다.
신도시 전셋값 상승률은 광교가 0.09%로 가장 높았고 ▲산본 0.03% ▲중동 0.03% ▲분당 0.02% 순이었다. 반면 일산과 판교는 각각 0.02%, 0.06% 하락했다. 광교는 이의동 광교호반베르디움이 전세매물 부족으로 1000만~1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매물 출시가 안되다 보니 호가가 시세로 굳어지고 있다. 중동은 중동 한라주공2단지가 1000만원 올랐다. 산본은 금정동 충무2단지주공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분당은 정자동 정든동아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전세매물이 많지 않지만 거래도 더딘 편이다. 한편 일산은 주엽동 문촌19단지신우가 거래부진으로 1000만~1500만원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화성 전셋값 상승률이 0.24%로 가장 높았고 ▲파주 0.10% ▲고양 0.07% ▲부천 0.05% ▲안산 0.05% ▲남양주 0.04% 순으로 상승했다.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에 대한 부담으로 전셋값 약세였던 화성이 최근 신규 아파트로 전세 세입자의 발길이 이어지며 반월동 신동탄SK뷰파크가 250만~1000만원 가량 올랐다. 파주는 아동동 신안실크밸리2차가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전세 매물 부족은 여전하고 시세보다 다소 비싸게 출시돼도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양은 행신동 일대 아파트 전셋값이 강세다. 행신동 서정마을6단지와 햇빛건영이 1000만원씩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