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0년까지 5137억원을 투입해 풍납토성 핵심지역 토지보상을 조기 완료하고 보전작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문화재청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3일 '풍납토성 조기보상·세계유산 등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우선 부족한 자원에 대해서는 지방채를 발행해 투입하고 문화재청이 나중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토지보상을 실시한다. 토지보상액 5137억원은 재정 2855억원(국비 7, 시비 3), 지방채 2282억원으로 구성된다. 내년 풍납토성 보상비는 문화재청 등과 협의해 올해보다 71억원 늘어난 571억원으로 확정됐다.
토지 조기보상 대상지는 왕궁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2~3권역 내 핵심지역과 기존에 보상을 신청한 지역 약 5만1000㎡이다. 보상방식은 2·3권역 전체에서 왕궁 추정지 등 핵심지역으로 추려서 우선 보상하는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전환했다.
시는 이들 지역에 대해 5년 내 우선 보상하고 단계적으로 보상 지역을 확대해 사실상 기약 없는 사업으로 여겨진 풍납토성 발굴 사업의 속도를 낼 계획이다. 풍납토성은 지난 22년간 유구 보존지역 1∼3권역 72만7005㎡ 중 35.1%에 불과한 25만5370㎡만 보상됐다. 현 보상비 수준으로는 보존지역 전체를 보상하는 데 수십년 이상이 걸려 주민의 불만이 많았다.
삼표레미콘 공장의 조속한 이전도 추진한다. 시는 협의에 불응하면 내년 상반기 중 토지 수용조치를 할 계획이며 예산에 일괄보상비 705억원도 편성했다.
시는 이외에도 풍납토성 내 유적에 대한 기획발굴을 내년부터 실시하기로 했다. 재건축 사업 등을 추진하다가 유적추정지가 발견되면 매입해 발굴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닌 핵심유적 추정지를 본격 기획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형도와 항공사진 판독으로 옛 유적의 위치와 분포, 잔존 가능성을 예측하고 기초데이터를 제공하는 '고지형(古地形) 분석' 결과를 활용할 계획이다. 신규 발굴지역은 발굴 단계부터 보호각을 설치해 현장박물관으로 활용한다.
내년 상반기 중 문화재청, 송파구, 관계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한성백제위원회와 시민단체로 이뤄진 한성백제시민위원회를 구성해 정책설명회와 간담회를 수시로 열고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