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아파트 매매가 올해 첫 보합

지난달 중순 가격 상승세 둔화 여파

전셋값 강세 여전…서울 0.07% 1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보합을 기록했다. 지난달 중순부터 상승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재건축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이 커지면서 일반아파트 매매시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 서울과 신도시 아파트 매매 변동률은 0.00%를 기록했고, 경기·인천은 0.01% 미미하게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은 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0.09% 떨어졌다. 강동(-0.32%)과 강남(-0.22%), 서초(-0.01%) 지역이 하락했다. 서울 일반아파트 매매변동률은 0.02% 상승하는 수준에서 멈췄다.

전세시장은 연말로 들어서면서 임차수요가 줄어들어 가격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였다. 서울이 0.07%로 가장 많이 올랐고 경기·인천 0.02%, 신도시 0.01%순이었다. 아파트 입주물량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지역은 국지적인 가격 하락을 보였다.

이번주 서울지역 매맷값은 성북이 0.13% 올라 가장 높았고 ▲양천 0.12% ▲동작 0.11% ▲강서 0.09% ▲관악 0.09% 순으로 이어졌다. 성북은 석관동 두산이 1000만원 상승했다. 양천은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0단지가 500만~1000만원, 삼성쉐르빌1,2차가 1500만~3000만원 올랐다.

반면 송파(-0.05%), 노원(-0.03%), 서대문(-0.02%), 강동(-0.02%), 강남(-0.10%)은 하락했다.송파 잠실동 리센츠는 매수문의가 줄면서 저렴한 매물이 나와 1000만원 떨어졌다. 노원은 월계동 그랑빌이 500만~1000만원, 상계동 주공4단지가 500만원 감소했다. 서대문은 남가좌동 래미안남가좌2차가 1000만원 하락했다. 강남은 개포동 주공1단지가 2000만~3500만원 떨어졌다. 상가 조합원 간의 협의가 잘 이뤄지지 않아 사업시행인가 신청이 늦어지고 있다. 대치동 은마는 1000만원 하락했다.

신도시는 평촌 매맷값 상승률이 0.03%로 높았고 ▲동탄 0.02% ▲파주운정 0.01% 순이었다. 평촌은 호계동 무궁화경남, 한양, 효성이 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동탄은 반송동 시범다은우남퍼스트빌이 500만~1750만원 올랐다

반면 김포한강(-0.13%), 분당(-0.01%), 일산(-0.01%)은 중대형 면적대 거래 부진으로 가격 조정을 보였다. 김포한강신도시는 초당마을우남퍼스트빌이 250만~1250만원 떨어졌다. 분당은 금곡동 두산위브, 일산은 주엽동 문촌18단지대원이 500만원씩 각각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안산 매맷값이 0.04%올라 가장 높았고 ▲부천 0.03% ▲평택 0.03% ▲과천 0.02% ▲시흥 0.02% ▲고양 0.01% 순이었다. 안산은 재건축 아파트 일반분양을 마친 성포동 주공3단지가 1000만~1500만원 올랐다. 부천은 소사본동 한신이 500만~750만원 상승했다. 평택은 우성꿈그린이 500만원, 태영청솔이 300만원 가량 각각 올랐다.

반면 김포(-0.05%), 의왕(-0.04%), 남양주(-0.03%), 광명(-0.02%)은 하락했다. 김포는 고촌읍 수기마을힐스테이트1단지 매매수요가 줄면서 500만~1000만원 떨어졌다. 의왕은 포일동 동아에코빌이 500만~1000만원, 광명은 하안동 주공3단지가 500만원 하락했다.

수도권 주간 아파트 변동률./부동산114



이번주 서울 지역 전셋값은 양천이 0.33%올라 가장 높았고 ▲성북 0.22% ▲관악 0.17% ▲강서 0.12% ▲동작 0.11% ▲송파 0.09% ▲구로 0.08% ▲노원 0.08% 순이었다. 반면 성동(-0.02%)은 떨어졌다. 양천은 학군수요가 유입되면서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0단지 전셋값이 1500만~4000만원 상승했다. 성북은 종암동 래미안라센트가 4000만원, 장위동 대명루첸이 3000만원 각각 올랐다. 관악은 관악산휴먼시아2단지가 5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동탄 전셋값 상승률이 0.06%로 높았고 ▲일산 0.03% ▲평촌 0.03% ▲중동 0.03% ▲산본 0.03% 순이었다. 동탄은 동탄역더샵센트럴시티가 500만원, 중동은 한아름한국이 500만원 올랐다. 반면 분당(-0.01%)은 하락했다. 위례와 판교 등 인근 지역에서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면서 임차수요가 줄었다. 정자동 느티공무원3단지가 1000만원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과천과 용인, 파주 전셋값이 각각 0.06%올라 높았고 ▲의정부 0.04% ▲김포 0.03% ▲안산 0.03% ▲하남 0.10% 순이었다. 과천은 부림동 주공8단지가 500만원 상승했다. 용인은 보정동 행원마을동아솔레시티가 500만~2000만원, 성복동 LG빌리지1차 1000만원, 상하동 진흥더루벤스2단지가 1000만원 올랐다. 하남은 덕풍동 하남자이가 1000만원 상승했다.

반면 의왕(-0.10%)과 광명(-0.03%)은 하락했다. 의왕은 내손동 포일자이가 500만원, 내손대림e편한세상이 250만~500만원 하락했다. 광명은 하안동 주공3단지가 250만~500만원 하락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