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올해 중소형 아파트 가격 상승률 6.49%…10년來 최고



올해 주택 시장에서 실수요층으로부터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면서 가격 상승률이 최근 1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7일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18일까지 전국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863만원에서 919만원으로 약 6.49%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으로 따지면 지난 2006년 이후 10년 새 최고 상승폭이다.

이 기간 전용 85㎡ 이상의 중대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3㎡당 1078만원에서 1125만원으로 올라 상승률이 약 4.36%였다.

올 들어 1∼11월까지 전국 중소형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63만9148건으로 전체 거래량 74만2612가구의 85%에 달했다. 기존 주택 매매시장뿐 아니라 분양시장에서도 중소형 물량이 대거 공급돼 1월부터 12월 18일까지 전국 분양 아파트 51만2078가구 중 중소형은 47만3157가구로 전체의 92.4%를 차지했다.

올해 청약경쟁률에서도 중소형 아파트가 중대형 아파트를 앞질렀다.

1월부터 12월 18일까지 중소형 아파트는 31만7057가구에 357만8040명의 1순위 청약자가 몰리며 평균 11.2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중대형 아파트는 3만2693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자 32만4001명이 몰려 평균 9.91대 1을 기록했다.

중소형 아파트의 강세는 올해 낮은 금리와 극심한 전세난에 따른 매매 전환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에도 이런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내년 초 공급을 앞둔 단지에서도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다.

삼성물산이 내년 1월 서울 광진구 구의 1구역을 재건축해 공급하는 '래미안 구의 파크스위트'는 전체 854가구 가운데 89%가 중소형이다. 롯데건설이 같은 달 강원도 원주기업도시 9블록에 공급하는 '원주 롯데캐슬 더 퍼스트 2차'는 전체 1116가구가 전용면적 59∼84㎡의 중소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