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지난해 집값 3.51%, 전셋값 4.85% 상승



주택 거래가 급증하면서 지난 1년간 전국 집값이 3.51% 상승했다. 2014년 상승률 1.71%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한국감정원이 3일 내놓은 2015년 주택시장 결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주택거래량은 110만6000건으로 전고점인 2006년 108만2000건을 넘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4.37% 올랐고, 지방은 2.73% 상승했다.

지역별로 제주(8.08%)가 지난해 집값이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대구 7.96% ▲광주 5.83% ▲서울 4.60% ▲경기도 4.47% 순이었다. 신규 입주 물량이 많았던 세종(-0.09%)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집값이 떨어졌다.

주택 유형별로는 2014년 2.71% 오르는 데 그쳤던 아파트가 지난해에는 4.89% 오르며 집값 상승을 주도했다.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1.77%, 1.2% 올랐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진 가운데 전세의 월세 전환이 늘면서 지난해 전셋값은 전국 평균 4.85% 뛰었다. 수도권이 7.14%로 상승세를 이끌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이주 등으로 전세 수요는 급증한 데 반해 전세의 월세 전환 등으로 매물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방도 2.79% 상승해 2014년 2.16%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도 지난해 1년 내내 전세난이 이어진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7.36%로 가장 많이 올랐고 서울이 7.25%로 뒤를 이었다. 대구 6.92%, 광주 6.36%, 인천 6% 등의 전세난도 수도권 못지않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6.95% 오르며 전셋값 상승세를 주도했다. 아파트 전셋값이 뛰면서 연립주택과 단독주택 전셋값도 각각 2.7%, 1.03% 올랐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전셋값 역시 계절적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상승 폭이 둔화하고 있다"며 "하지만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신규 입주 물량 부족 등으로 연초 상승 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집값은 11월 대비 평균 0.15% 오르는 데 그쳤다. 11월에 비해 상승 폭이 0.16%포인트 둔화됐다. 지역별로 수도권 0.2%, 지방 0.11%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전달에 비해 집값 상승지역이 159곳에서 131곳으로 감소했고 집값 하락지역은 19곳에서 45곳으로 증가했다.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든 가운데 가계부채 종합관리방안 시행 예고, 미국의 금리인상, 국지적인 미분양 증가 등으로 주택 매수세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