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실내활동 많은 겨울철, 층간소음 갈등 주의하세요

/뉴시스



아파트를 비롯한 다세대주택에서 벌어지는 층간소음 갈등은 주로 겨울철에 많이 발생했다.

서울시는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을 통해 최근 1년 9개월간 접수된 전체 민원 상담 1097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추세가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2014년은 10월 47건을 시작으로 ▲11월 48건 ▲12월 55건 ▲지난해 1월 65건 ▲4월 71건 등 층간소음 민원 상담 건수가 올라가다가 5월부터 감소했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69건의 민원이 접수돼 증가폭을 보인 이후 꾸준히 높은 건수를 기록 중이다.

층간소음 갈등 유형은 아이, 어른이 위층에서 뛰거나 걸으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850건(77.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가구를 끌거나 망치질, 문 개폐로 인한 소음 118건(10.8%), 청소기·세탁기 등 가전제품 소음과 피아노 소리 65건(5.9%), 개 짖는 소리 50건(4.6%) 순이었다.

주거위치별 층간소음 발생 원인을 보면 위층의 층간소음으로 인해 아래층에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821건(75.0%)으로 가장 많았다. 아래층의 과도한 항의와 보복 소음 등으로 인해 위층 거주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상담도 198건(18.0%) 접수됐다.

서울시는 층간소음 갈등이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면서 상담 건 수가 점차 증가해 추위가 누그러지기 전까지 이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추운 날씨로 인해 실내활동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층간소음 갈등이 증가하는 겨울철을 맞아 그 어느 때보다 갈등 해결을 위해 상호배려와 차분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