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업계

경기권역 미분양 2개월간 107% 증가…비싼 분양가·공급과잉 때문



지난해 11월부터 경기권 미분양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경기 미분양은 지난해 10월말 1만2510가구에서 같은 해 12월 2만5937가구로 2개월만에 무려 107.3%가 늘었다.

미분양 물량은 용인시가 7237가구로 가장 많았고 파주(4285가구), 화성(3617가구), 김포(2708가구), 평택(2360가구) 순이었다. 이처럼 미분양 물량이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이 지난해 11~12월 청약 1순위에서 미달돼 미분양이 발생한 경기권 분양단지 25곳을 집중분석한 결과 우선 미분양이 발생한 단지는 1순위 미달은 물론 2순위에서 실수요자인 해당 지역 우선공급에서 대부분 미달됐다. 고분양가와 공급과잉 때문으로 분석된다.

파주는 지난해 11월 분양한 힐스테이트 운정 2998가구 모든 주택형이 2순위에서 미달됐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1040만원으로 인근 기존아파트 시세가 900만원을 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분양가가 너무 비쌌다.

이에 앞서 10월말 분양한 운정신도시 센트럴 푸르지오 1956가구도 대부분 2순위에서 미달되며 미분양사태가 발생했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1020만원이었다.

내부수요가 부족한 파주에서 공급과잉이 있었던 것도 미분양에 한몫했다. 9월 분양한 운정 롯데캐슬 파크타운 2차 1169가구가 미분양중인 상태에서 운정신도시 센트럴 푸르지오, 파주 해링턴 플레이스, 힐스테이트 운정 등 3개월간 모두 7000여가구가 분양됐다.

용인은 공급과잉으로 미분양이 발생했다. 분양물량이 2014년 2141가구에서 지난해 2만5022가구로 10배 이상 늘었다.

특히 평당 700만원대로 인근 아파트 시세보다 낮게 책정한 용인 한숲시티 6725가구가 대부분 1순위에서 미달되며 대량 미분양사태가 발생했다. 지난 12월 분양한 용인 기흥 우방아이유쉘, 광교상현 꿈에그린도 1순위에서 미달되며 미분양됐다.

화성은 동탄2신도시에서 지난해 11월부터 미분양이 나오기 시작했다. 선호도가 낮은 남동탄인 데다 3.3㎡당 분양가가 1000만원 이상으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또 분양물량(화성시)도 2014년 7894가구에서 2만4858가구로 급증했다.

지난 12월 분양한 동탄2신도시 3차 푸르지오, 동탄2 금호어울림레이크, 신안인스빌 리베라3·4차 등이 모두 1순위에서 미달됐다.

신안인스빌 리베라3차(470가구)와 4차(510가구)는 모두 2순위에서도 미달됐다. 남동탄에 위치한 데다 수요층이 얇은 전용면적 84~96㎡ 중대형에 3.3㎡ 당 분양가가 1030만원대로 높았다.

김포는 지난해 11월 분양한 한강신도시내 김포한강 아이파크(1,230가구)는 대부분 2순위에서도 미달되며 미분양이 발생했다. 역시 높은 분양가가 발목을 잡았다.

김포한강 아이파크 분양가는 3.3㎡당 평균 1025만원이었으며 인근 구래동 아파트 시세는 970만원대였다. 반면 이웃한 한강신도시 Ab-12블록 이랜드타운힐스는 김포도시철도 운양역(예정) 역세권에 신도시 중심에 위치한 데다 적정 분양가 990만원으로 모든 주택형이 1순위 마감됐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대출규제, 공급과잉, 미국 금리인상이라는 3대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11월부터 미분양물량이 급증했다"면서 "올해 경기권 분양물량이 12만가구가 넘어서는 만큼 내집마련 청약자들은 수급, 입지, 분양가를 따져보고 선별청약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