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부터 이달까지 주택 시장 매수 심리 위축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 소재 역세권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다. 다른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높은 데다 주거 인프라가 갖춰져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 소재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아파트 가구 수는 56만5013가구로, 전체 155만3300가구의 36.38%에 불과하다. 공공임대 물량을 제외하면 서울 시내 소형 민간아파트는 전체의 31.47%(48만8818가구)에 불과하다.
국토교통부 주택규모별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서울에서 인허가를 받은 전용면적 60㎡ 이하 가구는 전체의 36.24%(12만8555가구)에 그쳤다. 2014년 절반 수준이다.
2014년에는 전체의 62.15%(3만8415가구), 2013년은 62.72%(4만959가구), 2012년 68.14(5만1822가구)로 서울 내 소형아파트 인허가 비율은 매년 줄고 있다.
정부가 2014년 재건축 사업에 대한 소형주택(전용면적 60㎡ 이하) 의무공급비율을 폐지하면서 서울 도시정비사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소형 아파트의 희소성은 높아지는 실정이다.
지난해 서울 소재 소형 아파트는 분양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다. 청약 경쟁률 상위 10개 아파트 가운데 6개가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이었고 4개 아파트는 전용면적 84㎡였다.
'송파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39㎡가 평균 334.5대 1의 청약 경쟁률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e편한세상 신금호' 전용면적 59㎡가 평균 202.67대 1로 2위에 올랐다.
'공덕 더샵' 전용면적 19㎡(193.5대 1)이 4위, '송파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49㎡(134대 1)가 7위, 'e편한세상 신촌' 전용면적 59㎡(238.06대 1)가 9위, '송파 헬리오시티' 전용면적 59㎡(107.26대 1)가 10위를 차지했다.
소형 아파트 인기는 분양권 시세에서도 잘 드러난다. 지난해 4월 서대문구 북아현동 지하철 2호선 아현역 인근에 공급된 '아현역 푸르지오' 전용면적 59㎡의 분양가는 5억8000만원이었으나 현재 3000만∼5000만원의 웃돈이 붙은 6억원대에 분양권이 거래되고 있다.
같은 달 성동구 금호동 지하철 5호선 신금호역 인근에서 분양한 '신금호 파크자이' 전용면적 59㎡는 지난 11월부터 전매제한이 풀리면서 5000만원가량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 설 연휴 이후 서울 시내 52개 단지에서 공급될 5만2962가구에도 역세권, 소형 아파트가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