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단독주택 거래량이 13만여건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내 집 마련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면서 아파트에 대한 쏠림현상이 주거생활의 제약이 덜한 단독주택으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다. 집값도 아파트 못지않게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어 인기 주거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1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단독주택 매매 거래량은 12만9065건으로 지난해 10만3211건에 비해 25.05% 증가했다. 아파트 매매거래량 증가율 14.04%를 웃도는 수치이며 이 기관에서 통계 집계를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최대치다.
권역별로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이 2만 4315건에서 3만 6902건으로 51.77% 증가해 지방 증가율 7만 8896건→9만 2163건(16.82%)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서울이 1만 7292가구로 전년 대비 59.45% 증가했으며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46.58%(1만811건→1만5847건), 41.52%(2659건→3763건)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전국 단독주택 평균 매매가는 3.3㎡당 598만원으로 아파트 평균 매매가(3.3㎡당 1186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가격 상승폭도 지난 1년 새 4.04% 올라 아파트 상승률 6.68%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던 수도권의 지난 1월 단독주택 매매가는 3.3㎡당 1032만원으로 전달 3.3㎡당 1026만원보다 0.49% 상승하며 지난 2013년 12월 이후 25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반면 아파트는 지난 2013년 9월 이후 27개월 연속상승세를 이어가던 가격이 지난달 들어 0.15%(1492만→1490만원) 하락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이렇다 보니 최근 단독주택을 지을 수 있는 주택용지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롯데건설과 KCC건설 등이 출자한 블루아일랜드개발(시행사)이 청라국제도시 베어즈베스트 청라 골프장 내 선보였던 '청라 더 카운티 1차'는 일주일 만에 119필지가 모두 완판(완전 판매)된 바 있으며, 2차 145필지(평균 530㎡ 안팎)도 분양을 앞두고 있다.
경기도 용인 흥덕지구에 공급된 블록형 단독주택지 트리플힐스도 5개 단지 약 203필지 중 지난해 1·2·3단지 113필지가 완판됐고, 4차와 5차가 현재 분양 중에 있다. 공공에서 선보인 단독주택지 매각 경쟁률도 치열하다. 지난해 12월 인천도시공사가 공급한 인천 도화지구 단독주택용지 15필지를 비롯 근린생활용지 3필지, 구월지구 주차장 용지 1필지 등 19개 필지 개찰결과 평균 206.5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고 같은 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인천 영종지구에 공급한 주거전용 단독주택용지 208필지도 평균 10대 1로 마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