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의 4%가량이 올해 들어 매매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전국 아파트 700만8476가구를 대상으로 시세 변동을 조사한 결과 27만2417가구(3.9%)가 지난 5일 기준 매매가격이 지난해 12월 말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가격 변동을 보이지 않은 곳은 643만9813가구(91.9%)였고 가격이 오른 곳은 29만6246가구(4.2%)였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전체 41만5488가구 가운데 12.1%인 5만266가구로 가구 수 비중이 가장 컸다. 경북이 26만3871가구의 8.4%에 해당하는 2만2161가구의 아파트값이 떨어져 뒤를 이었다.
수도권은 서울의 경우 127만2423가구 중 5.8%(7만4028가구)의 아파트값이 하락했고 경기는 204만1308가구 중 3.1%(6만4061가구)의 가격이 떨어졌다. 반면 부산광역시는 전체 55만261가구 중 11.5%에 이르는 6만3483가구가 지난해 말보다 매매가격이 올랐고 떨어진 곳은 1.6%(8953가구)에 불과했다.
올 들어 매매가격이 내려간 27만2417가구 중 45.7%(12만4436가구)는 전용면적 60∼85㎡였고 전용면적 60㎡미만 소형 아파트가 36.3%(9만8990가구)를 차지했다. 가격이 내려간 아파트의 80% 이상이 중소형인 것이다.
이는 최근 중소형 아파트의 공급 쏠림이 심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격이 내려간 전체 단지의 68.7%(18만7119가구)가 1000만원 미만 떨어졌고 32.7%(8만8957가구)는 1000만원 이상 하락했다.
3000만원 이상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아파트는 6491가구다. 가격 하락폭이 큰 주요 아파트를 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 전용면적 164㎡가 지난해 12월 22억원에서 이달 21억원으로 1억원 내렸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2단지 전용면적 54㎡는 11억1000만원에서 10억4500만원으로 6500만원 떨어졌고 서초구 반포동 주공1단지 전용면적 72㎡도 13억1000만원에서 12억4500만원으로 6500만원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