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2월 전국 청약경쟁률 5.35대 1…전년·전월 대비 큰 폭 감소추세



2월 전국 청약경쟁률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청약경쟁률이 낮아질 경우 분양권 프리미엄(웃돈) 형성이 어려워지고 계약률 감소에 따라 미분양주택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1~2년새 높은 청약경쟁을 주도했던 지방 분양시장이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부동산114가 2월 1일부터 23일까지 청약경쟁률을 집계한 결과 평균 5.3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8.07대 1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또한 지난해 11.48대 1, 2014년7.45대 1의 연간 평균 경쟁률 대비로도 하락폭이 큰 상황이다. 게다가 청약경쟁률 급등 이전인 2014년 2월의 5.09대 1 과도 경쟁률이 비슷해져 향후 전망에 대한 우려감이 높다.

청약경쟁률 하락은 지방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된다. 수도권은 2월 23일까지 일반 공급 물량이 259가구 수준에 불과하며 지난1월 청약경쟁률은 평균 22.74대 1로 아직 견고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은 2015년 11월 이후 4개월 연속 청약경쟁률이 떨어지며 추세 전환이 상대적으로 뚜렷한 편이다.

올해 공급된 지방 지역의 단지별 청약경쟁률을 살펴봐도 하락 경향은 뚜렷하다. 지난해 수백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던 부산, 대구 등 지방광역시는 수십 대 1 수준으로 경쟁률이 축소됐고 일부 단지는 순위 내 마감조차 힘겨워하는 분위기다.

예를 들어 부산 서구에서 지난해 분양한 2개 단지 대신더샵(7월), 경동리인타워(5월) 청약경쟁률은 111대 1과 33대 1을 기록했지만 올해 2월 분양한 '부산충무금오'의 청약경쟁률은 1.12대 1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대구 동구 일부 단지는 지난해 최고 273대1(동대구반도유보라(5월))을 기록했지만 올해 분양한 '이안동대구'는 24.46대 1 수준으로 경쟁률이 크게 축소된 상황이다. 지역 내 입지적인 환경이 다를 수 있지만 전반적인 수요 감소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

청약경쟁률은 미분양주택의 선행지표로도 볼 수 있다. 청약경쟁률이 낮게 나타날수록 분양가에 프리미엄 형성은 어려워지고, 계약률 감소에 따라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난해 11월부터 전국 미분양주택이 크게 늘어난 이유가 청약경쟁률 저하에 따른 선·후 결과로 분석되는 이유다.

게다가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미분양 주택 중 수도권 3만637가구, 지방 3만875가구로 지방 미분양주택 물량이 수도권을 다시금 넘어섰다. 지방에서만 1개월(2015년 12월) 만에 7729가구나 증가(수도권 4059가구 증가)한 상황이다. 분양권 프리미엄을 노리고 진입하는 분양 대기자라면 단기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시점이므로 미분양 증감추이를 지켜보며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