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 그린벨트 규제 완화 소식이 전해지면서 녹지보존이 잘 돼 있는 지역이 재조명받고 있다. 그린벨트가 해제될 경우 녹지가 훼손돼 개발되므로 녹지가 인접한 아파트는 희소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조사한 전국 광역시 녹지비율을 보면 서울 30.2%, 인천 36.41%, 경기 56.43%인 반면 강원 84.51%, 경북 75.9%, 울산 69.77% 등 지방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비율이 낮다는 것은 토지표면이 포장이나 건물 등으로 덮여 빗물이 땅속으로 스미지 않는 불투수층 면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아 집중호우시 도시침수나 지하수 고갈, 하천 수질 저하 등의 우려가 생긴다. 불투수층은 서울이 57.22%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 19.06%, 경기 12.44%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녹지가 부족한 서울은 공원, 산 등으로 둘러싸인 단지는 희소해 집값 상승률이 꾸준하다.
서울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목동 우성'(1992년 4월 입주)과 '목동 건영'(1994년 12월 입주)은 면적만 21만3552㎡에 달하는 용왕산근린공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두 단지의 전용면적 84㎡ 평균 매매가는 1년간(2015년 2월~2016년 2월) 각각 11.76% (5억1000만→5억7000만원), 11.29%(3억1000만→3억4500만원) 상승했다. 이들 단지 모두 용왕산근린공원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뿐더러 조망권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프리미엄까지 반영된 것이다.
반면 같은 목동이지만 근린공원과 거리가 있는 '목동 현대1차'(1997년 12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지난 1년간 6억8250만원을 유지했고 '목동 대원칸타빌1차'(2009년 1월 입주)도 근린공원 이용이 불편하지만 지하철5호선 목동역세권임에도 2.04%(4억9000만→5억원)밖에 상승하지 않았다.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방배 서리풀 e편한세상'(2010년 2월 입주)은 면적만 54만여㎡규모의 서리풀공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단지의 전용면적 84㎡ 평균 매매가는 1년간 10억5000만원→11억원으로 오른 반면 녹지와 떨어진 지하철 7호선 내방역세권인 '브라운스톤 방배'(2005년 8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같은 기간 7억5500만원의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는 4월 입주를 앞둔 서울 성동구 금호동 '신금호 파크자이'는 면적만 10만7694㎡규모인 응봉근린공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단지 일반분양권에는 현재 5000만원에서 8000만원 정도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
행당동 P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이 단지 전용면적 84㎡는 분양 당시 6억6000만~6억8000만원이였는데, 현재 7억4000만원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서울 도심에서는 찾기 힘든 녹지를 품고 있고 조망권까지 확보돼 선호도가 높아 입주 전임에도 거래가 활발하다"고 말했다.
대림산업은 3월 경기 광주시 오포읍에서 'e편한세상 태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삼면이 녹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인근으로 율동자연공원과 중앙공원 등이 있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2층 10개동, 전용 74~171㎡ 624가구 규모다.
GS건설은 같은 달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A8블록에서 '동탄파크자이'를 선보인다. 단지는 해발 258m의 무봉산으로 둘러 싸여 있어 무봉산 조망이 가능하다. 또 리베라CC북쪽권역이어서 주거 환경도 쾌적하다. 이 단지는 지상 최고 15층, 19개동, 전용면적 93~-103㎡, 979가구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