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월세 기준 가계주거비가 월평균 7만4000원으로 2014년 대비 20%가량 올랐다. 8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실제 주거비(월세 기준)는 월평균 7만4227원으로 1년 새 20.8% 증가했다. 2003년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증가율도 역대 최고치다.
가계 주거비는 2013년 7.0%, 2014년 4.0%의 증가율을 보이다가 지난해 크게 늘었다. 평균 주거비가 올랐다는 것은 그만큼 월세로 전환한 가구가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계가 실제로 지출하는 월세는 통계치보다 훨씬 많다. 월세 가구가 늘어나면 실제 주거비는 오른다.
지난해 전월세거래량 가운데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4.2%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1년(33.0%) 이후 가장 높았다. 전세 거래량은 82만1000건으로 5.1% 줄어든 반면 월세 거래량은 65만건으로 8.3% 늘었다.
특히 서울의 월세 거래량(21만5000건)이 11.6% 늘어나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올 들어 지난 1월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 비중은 46.6%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고소득층의 월세 전환이 두드러졌다. 소득 600만원 이상 가구의 월평균 주거비는 지난해 7만6402원으로 2014년에 비해 42.9% 증가했다. 모든 소득 구간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소득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가구 주거비는 8만1063원으로 32.2% 증가했다. 소득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 가구는 3.9%, 100만원 미만 가구는 4.3% 늘었다.
중산층과 일부 고소득층이 전셋값 상승 부담으로 월세로 전환한 경우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