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의 갈등으로 파행으로 치닫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 사태에 대해 영화인들이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 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시가 빚고 있는 일련의 갈등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 자리에는 이춘연 영화인회의 이사장, 이은 영화제작가협회장, 채윤희 여성영화인모임 대표, 고영재 독립영화협회 이사장, 이준동 나우필름 대표, 안병호 영화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안영진 프로듀서조합 대표, 한국영화감독조합 부대표 정윤철 감독, 방은진 감독 등이 참석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위원회는 "부산시가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자문위원 68명을 인정할 수 없다고 법적 대응까지 나서면서 영화제에 대한 노골적인 간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며 "있지도 않은 영화계 권력을 운운하며 혼탁한 밥그릇 사움의 프레임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그 누구도 '영화인들이 없는 부산국제영화제'라는 끔찍한 일은 상상조차 하고 싶지 않다. 하지만 부산시가 영화인의 중재 노력을 오히려 외부 불순 세력의 개입이라고 모욕한다면 더 이상 부산국제영화제에 발을 디딜 이유가 없다"며 보이콧 의사를 표명했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 서병수 부산시장의 조직위원장 사퇴를 즉각 실행하고 부산국제영화제의 자율성, 독립성을 보장하는 정관 개정에 전향적 자세로 나설 것 △ 부산국제영화제 신규 위촉 자문위원 68명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철회하고 부산국제영화제 대한 부당한 간섭을 중단할 것 △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과 총회 의결 없는 집행위원장 해촉 등 영화제를 훼손한 일련의 잘못을 인정하고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를 약속할 것을 요구했다.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시의 갈등은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당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을 상영한 것이 발단이 됐다. 당시 서병수 부산시장은 영화제 개막 1주일 전 '다이빙벨'의 상영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부산국제영화제 측은 "상영작 선정은 영화제 프로그래머의 고유한 권한으로 그 누구도 관여하지 않는 것이 영화제의 방침"이라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이후 부산시는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에 대한 사퇴를 권고하며 보복성 조치에 들어갔다. 또한 감사원 권고를 이유로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했고 이에 국내외 영화인들의 항의가 이어졌다. 깊어지던 갈등은 서병수 시장이 올해 초 조직위원장에서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일단락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정관개정을 위한 임시총회를 둘러싸고 갈등이 재점화됐다. 영화제 측에서 영화인들로 구성된 자문위원을 위촉하자 서병수 시장은 "자격도 없는 사람들이 부산국제영화제를 좌지우지한다"며 이를 인정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14일에는 부산시 측에서 새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했다.
영화인들은 "부산국제영화제는 부산시의 것이 아닌 부산 시민의 자산이자 한국 문화계의 자산이며 세계 영화계의 자산"이라고 입을 모았다. 위원회 고문을 맡고 있는 이춘연 이사장은 "부산국제영화제는 부산향토문화축제가 아니다"라며 "이 기자회견은 영화제를 버리겠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제를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호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방은진 감독은 "저는 5번의 개막식 사회와 1번의 폐막식 사회를 볼 정도로 영화제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족 같은 사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제가 내가 감독한 첫 영화를 틀어주지는 않았다. 그 정도로 상영작 선정은 프로그래머의 고유의 권한"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국제영화제는 부산시의 것이 아닌 부산시민의 것이자 우리의 것이며 전 세계의 것이다. 부산 시민과 서울의 영화인에 대한 편가르기를 하지 말라"고 밝혔다.
정윤철 감독은 "부산국제영화제는 좌파와 우파라는 정치적 이념에서 자유로운 영화제가 돼야 한다"며 "영화제를 정치적인 상황으로 몰아넣은 서병수 시장의 행태가 이 모든 사태의 근원이기에 영화인은 분노할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움을 털어놨다.
이제 남은 것은 자문위원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단, 그리고 정관 개정을 임시총회 개최 여부다. 이은 협회장은 "영화인들은 아직까지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온건하게 기자회견을 하는 것은 오늘이 마지막이 될 것"이라며 "영화인에게 표현의 자유는 생명과 다름없다. 이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이 끈을 놓지 않고 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