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취업환경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취직이 순조롭게 되는 사람들이 있고 아니면 수 십번씩 이력서를 제출해도 고배를 마시는 경우가 있다면 이 반안살(攀鞍殺)의 유무를 살펴봐야 한다. 반안살이란 말안장에 앉아서 출전하는 장수를 의미한다. 졸병들은 걷거나 짐을 지고 전장에 나서지만 장수들은 늠름하게 말안장에 앉아 출정한다. 반안이란 말 그대로 말안장이라는 뜻인데 옛날에는 승진이나 영전(榮轉)을 하게 되면 왕이나 제후가 말을 하사하여 축하를 해 줌과 동시에 이에 걸맞는 직분을 하사했던 것이다. 따라서 말을 타고 다닐 수 있는 사람은 출세한 사람이란 뜻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 반안살이 있게 되면 관운이 좋다. 여자의 경우 반안살이 있게 되면 자신은 아니더라도 남편이나 아들이 승진을 하거나 관직에 나아가게 된다. 반안운이 말년에 들어오면 여생도 편하다. 이런 이유로 옛 선인들은 궁합을 볼 때 여자의 사주에 반안살이 있게 되면 기쁘게 여겼다.
반안살의 유무는 태어난 날의 일지를 중심으로 보기도, 태어난 년지를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필자는 일지(日支)를 기준으로 삼는데 이는 태어난 날의 기운이 우선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요즘같이 청년실업으로 어려운 때라 할지라도 반안살 대운이 드는 때에 취업을 준비하면 무난히 직장을 얻게 된다. 게다가 세운(歲運)과 같이 들게 되면 경쟁이 세어도 원하는 직장에의 취직은 당연하다고 본다.
이미 취직을 한 사람의 경우에도 세운에 반안운이 오게 되면 승진은 역시 따논 당상이다. 반안살이 없다 하여도 장성살(將星殺)이 있게 되면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지만 반안운을 우선으로 친다. 만약 취업에 계속 어려움이 있다고 느껴지면 본인에게 해당되는 반안 방향 또는 장성방향을 향해 잠을 자며 그쪽 방향을 향해 발원하는 바를 기도하게 되면 분명 좋은 힘을 얻게 된다. 다만 반안살의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우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말을 타고 길을 가니 사람들이 우러른다. 그러다 보니 속으로 우쭐한 마음을 내어 거만하거나 안하무인할 수가 있다. 이럴 경우엔 말에서 떨어지는 수가 생기고 걷다가 넘어지는 것보다 말 위에 있다가 떨어졌을 때 더 충격이 큰 편이라 반안살이 있는 경우는 겸손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관운이 좋은데 겸손하기까지 하면 어려운 일이 다가와도 비켜가는 기운을 받는다. 관운의 기간이 더욱 증장되어짐이니 명예가 오래 유지하는 방안이 된다. /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