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클로버필드 10번지'./롯데엔터테인먼트
만약 당신이 정신을 잃은 채 지하 속 벙커에서 깨어난다면 어떤 기분일까? 벙커에서 만난 사람들이 자신을 납치한 것이 아니라 구해준 것이라고 한다면, 그리고 벙커 밖 세상은 알 수 없는 무언가의 공격으로 오염됐다고 말한다면 그 말을 믿을 수 있을까? 영화 '클로버필드 10번지'는 바로 이 작은 아이디어로부터 출발한다.
주인공 미셸(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테드)은 남자친구와 다툰 뒤 운전을 하다 교통사고를 당한다. 정신을 차린 미셸은 자신이 지하 속 벙커에 묶여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공포에 빠진다. 그러나 그녀 앞에 의뭉스런 표정으로 나타난 하워드(존 굿맨)는 자신이 미셸을 교통사고에서 구해 이곳으로 데려왔으며 바깥세상은 공기가 오염돼 나갈 수 없다고 말한다. 또 다른 남자 에밋(존 갤러거 주니어)도 하워드가 자신을 구해줬다며 밖으로 나가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
영화 '클로버필드 10번지'./롯데엔터테인먼트
사전 정보 없이 영화를 본다면 '클로버필드 10번지'는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공포·스릴러 장르의 영화로 보일 것이다. 영화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축은 바로 폐쇄된 공간에 모인 낯선 세 사람의 긴장과 갈등이다. 처음 만난 낯선 사람을 완벽하게 신뢰하기란 쉽지 않다. 하워드와 에밋을 믿지 않던 미셸은 일련의 사건 속에서 조금씩 그들을 믿기로 마음먹는다. 그러나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는 에밋과 달리 좀처럼 속을 알 수 없는 하워드에 대해서만큼은 의심을 지우지 않는다. 하워드의 진실이 밝혀지면서 평온했던 관계는 점점 어긋나간다. 긴장과 이완 속에서 세 사람의 갈등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는 연출이 인상적이다.
'클로버필드 10번지'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2008년 개봉한 영화 '클로버필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클로버필드 10번지'와 마찬가지로 J.J. 에이브럼스가 제작한 '클로버필드'는 개봉 당시 파운드 푸티지(기록 영상처럼 촬영한 페이크 다큐멘터리의 일종)와 괴수영화의 장르를 절묘하게 섞은 영화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비해서는 저예산으로 만들어진 '클로버필드'는 개봉 이후 제작비의 7배에 가까운 수익을 올리며 흥행에 성공했다. 영리한 아이디어가 대중적인 성공으로 연결된 케이스였다.
'클로버필드 10번지'에 대해 J.J. 에이브럼스는 "'클로버필드'의 후속작은 아니지만 '클로버필드'의 DNA를 따온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 DNA는 바로 장르적인 관습을 영리하게 풀어낼 줄 아는 아이디어다. '클로버필드'가 파운드 푸티지와 괴수영화의 장르적인 관습을 영리하게 섞었다면 '클로버필드 10번지'는 공포영화와 스릴러의 관습을 충실히 따르면서 장르영화 특유의 재미를 선사한다. 스포일러라 밝힐 수 없는 영화의 결말은 '클로버필드'에 흥분했던 관객이라면 충분히 만족스러울 것이다. 15세 이상 관람가. 4월 6일 개봉.
영화 '클로버필드 10번지'./롯데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