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곡성’ 나홍진 감독 “가해자 아닌 피해자에 집중한 영화”



"이번 영화는 기존의 작품들과 정말 다릅니다. 물론 다른 영화처럼 빠르게 치고 달리는 역동적인 장면이 없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기존 영화가 지엽적이고 즉흥적인 효과에 집중한 것과 달리 '곡성'은 관객에게 전혀 다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다음달 12일 신작 '곡성'의 개봉을 앞두고 있는 나홍진 감독은 7일 오전 서울 CGV 압구정에서 열린 제작보고회에서 전작은 물론 기존 영화와도 다른 작품임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또한 "우리 영화는 상업영화"라며 "관객들이 정말로 재미있게 봐주길 바란다"고 기대도 당부했다.

'곡성'은 '추격자'와 '황해' 두 편의 영화로 한국영화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은 나홍진 감독의 신작이다. '추격자'는 이후 한국영화의 대세를 스릴러로 만들 정도로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황해'도 개봉 이후 꾸준히 패러디가 등장할 정도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다소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소재와 이야기였지만 나홍진 감독은 이를 흥미롭게 풀어내며 단 두 편의 영화만으로 관객들이 기대를 갖게 하는 감독이 됐다.

그러나 '곡성'은 앞선 두 편의 영화와는 전혀 다른 지점에서 출발했다. 이날 제작보고회에서 나홍진 감독은 '황해' 개봉 당시 겪은 일화를 털어놨다.

"크리스마스 때였습니다. 극장에 '황해'를 보러 갔는데 앞에 한 연인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여자가 잠바를 뒤집어 쓰며 고개를 수그리는 모습을 봤습니다. 크리스마스 같은 중요한 날에 영화를 보러 온 걸 텐데 죄송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영화는 플롯과는 무관하게 자극적인 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를 피하고 미쟝센적으로 보여주고자 신경썼습니다."

앞선 두 편의 영화가 가해자의 편에 섰다면 이번 영화는 피해자의 입장에 선 것도 차이점이다. 나홍진 감독은 "그동안 가해자가 어떤 과정과 심리상태 속에서 피해자를 양성해내는지에 집중했다. 그런데 왜 피해자는 이런 피래를 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스스로 감당할 수 없는 주제라 생각해 책도 읽고 종교계 분들도 만나면서 배움을 얻게 됐다. 그런 부분을 영화에 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영화는 평화롭던 시골 마을에 외지인이 나타난 뒤 시작된 의문의 연쇄 사건 속에서 소문과 실체를 알 수 없는 사건과 마주하게 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곽도원이 평범한 경찰이자 어린 딸을 둔 아버지 종구 역을 맡았다. 황정민과 천우희가 각각 박수무당 일광과 사건의 목격자 무명 역으로 호흡을 맞췄다.

'곡성'은 다음달 열리는 제69회 칸영화제 진출 여부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나홍진 감독은 "우리영화는 예술적인 면을 지향하고 있지만 순도 높은 예술영화가 아닌 상업영화"라며 "예술영화를 만들었다면 영화제 욕심도 나겠지만 상업영화인 만큼 큰 기대가 없다"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