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재건축 연한단축 첫 수혜…1987년 준공 단지 어디?

서울 2만7764가구 수혜

노원·양천, 1만2659가구 집중

1987년 준공아파트 서울 구별 물량./부동산114



재건축 연한이 지난 2014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된 뒤 첫 수혜단지는 1987년 준공된 단지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정책 발표 당시 서울에서 1987~1990년 준공된 아파트는 재건축 연한이 2~8년 단축되고 1991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는 연한이 10년 단축된다고 밝혔다. 1987년 준공된 아파트가 재건축 연한 단축의 첫 수혜 대상으로 판단되는 이유다.

1987년 준공된 단지는 향후 1년 이내에(내년) 재건축 추진이 가능해 본격적인 재건축 추진에 따른 선점효과를 누리는 매입 전략을 고려해 볼 만하다.

재건축 연한단축의 첫 수혜인 1987년 준공아파트는 서울에 2만7764가구가 있다. 이 중 노원구에 6412가구, 양천구에 6247가구 등 1만2659가구가 집중됐고 ▲도봉구 2893가구 ▲구로구 2558가구 ▲강남 2386가구 ▲성동구 1666가구 ▲영등포구 1141가구 ▲서대문구 1124가구 순으로 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 수혜대상의 46%가 노원구와 양천구에 집중된 만큼 단지나 물건 별 선택 폭이 넓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과거부터 서울 재건축 시장을 주도했던 강남권 재건축 물량은 점차 그 비중이 줄어들 전망이다.

수혜단지가 집중된 노원구는 주공2·3·4단지, 양천구는 신시가지8·9·10단지가 주요 수혜단지로 꼽힌다. 특히 해당 단지 내에서도 5층 이하 저층 물건은 재건축 진행 시 대지지분이 상대적으로 커 수익성이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선 매입 대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 외 도봉구, 구로구, 강남구, 성동구는 100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로 구성된만큼 지역 선호도에 따라 수익성 높은 저층 단지 중심으로 선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2014년 4월부터 허용된 '수직증축 리모델링'과 '재건축' 사이에서 수익성이 더 높은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점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노원구 상계동 740번지 일대에 위치한 '주공 2단지'는 1987년 10월 준공한 아파트로 지상5~15층 23개동 전용면적 32㎡~84㎡ 2029가구다. 지하철 4·7호선 노원역과 도보10분 거리에 있으며 단지 내에 초등학교, 중학교 각각 1곳이 위치해 있다.

양천구 신정동 312번지 일대에 위치한 '신시가지9단지'는 1987년 7월 준공한 아파트로 지상5~15층 32개동 전용면적 53㎡~139㎡ 2030가구다. 지하철2호선 양천역과 신정네거리역이 걸어서 10분 거리다. 양천구청과 신시가지 중심상가가 가깝다.

도봉구 쌍문동 388-33번지 일대에 위치한 '한양1차'는 1987년 4월 준공한 아파트로 지상12~14층 8개동 전용면적 50㎡~79㎡ 824가구 규모다. 지하철 4호선 쌍문역과 걸어서 7분 거리며 대형병원인 한일병원과 인접해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