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부동산시장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지방 부동산시장을 활황을 이끌고 있는 부산은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강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조선업 불황 쇼크로 경남과 울산은 매매가격도 하락하고 미분양도 급증하는 등 대조를 이루고 있다.
올해 2분기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은 0.72% 올라 전국에서 서울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5월부터 지방으로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확대됐으나 부산 아파트값은 1분기(0.53%)보다 상승폭이 오히려 확대됐다. 입주물량 감소로 단기 공급과잉이 적은데다 저금리 기조로 유동자금이 부동산시장에 유입되면서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대출 규제 악재보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동부산권 강세가 이어졌다. 수영구(1.62%), 연제구(1.29%), 해운대구(1.03%), 북구(0.73%)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하락한 지역은 한 곳도 없었다.
하반기에도 신규 분양시장과 도심 재개발·재건축 시장에 대한 투자 관심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7월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실수요자들의 매매 거래는 줄어들 전망이다.
조선업 불황 직격탄을 맞은 울산은 2분기 아파트 매매가격이 0.06% 하락해 지난 2012년 3 분기(-0.03%)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냈다.
특히 500가구 안팎이던 지역 내 미분양 물량이 5월 말 1000가구 넘게 급증하면서 주택시장에 빨간 불이 켜진 상태다. 지역별로는 북구(-0.31%), 동구(-0.13%), 남구(-0.04%) 순으로 하락했고 중구(0.08%)와 울주군(0.06%)은 오름세를 보였으나 상승폭은 미미했다.
울산 동구에 위치한 부동산중개업소 대표는 "전반적으로 분양경기가 좋지 않은데다 지난해 신규 아파트 분양이 많았고 대출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세가 줄어들면서 주택 매매 경기가 급랭했다"라며 "특히 조선경기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울산, 경남 거제지역 조선수주량과 주택거래 관계 현황.
경남(-0.12%)은 1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공급 부담과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 영향으로 매수세가 크게 위축됐다. 지역 기반 산업인 조선과 해운 등 중공업 불황 여파로 거제시(-0.34%), 창원시(-0.25%)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반면 혁신도시 등 인구 유입 호재가 있었던 진주시(0.59%)는 오름세를 나타냈다. 하반기 경남 아파트시장은 조선업 등 중공업시장 침체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침체가 더 깊어질 전망이다.
전세가격도 부산은 강세를 나타냈으며 울산, 경남은 약세를 이어갔다.
2분기 부산 아파트 전세가격은 1.01% 올라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입주물량 감소와 저금리
기조에 따른 월세 전환으로 전세매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매매가격이 많이 오른
지역일수록 전셋값도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수영구(1.94%), 연제구(1.64%), 북구(1.61%),
해운대구(1.30%), 부산진구(1.15%), 동구(1.10%) 등이 1%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산은 3분기에 1만여 가구의 신규 입주가 이뤄지면서 전세시장에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울산은 0.46% 올라 지난 1분기(0.56%)에 비해 오름세가 다소 둔화됐다. 중구는 입주 2년차에 접어든 혁신도시 내 아파트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1.42%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타 지역에 비해 신규 공급이 적은 남구는 0.69% 올라 뒤를 이었다. 반면 2분기에 신규 입주물량이 2000여 가구에 달했던 북구(-0.43%)는 내림세를 기록했다.
경남은 -0.14%의 변동률로 매매시장에 이어 전셋값도 하락 반전했다. 양산, 거제 등 신규 아파트공급이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약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양산시가 물금지구를 비롯한 택지지구 위주로 신규 아파트 공급이 늘면서 0.60% 하락했고 뒤를 이어 거제시(-0.50%), 창원시(-0.22%), 김해시(-0.03%) 등의 순으로 내림세를 보였다.
거제에 위치한 부동산중개업소의 관계자는 "조선사 하청업체 직원들의 이탈로 원룸 매물이 많다"라며 "수요자가 없다보니 가격은 계속 하락하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