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춤했던 서울의 아파트값이 6주만에 상승폭이 다시 확대됐다. 재건축시장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개발 호재지역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살아나면서다. 반면 신도시는 리모델링 내력벽 철거 방안이 유보되면서 상승세가 둔화됐다.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8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값은 0.17% 올라 전주(0.11%) 대비 0.06%p 상승했다.
지난 6월 말 올해 가장 높은 변동률(0.19%)을 기록했던 서울 매매시장은 여름 휴가철과 개포주공3단지 재건축 분양가 규제 영향으로 매수세가 주춤했다. 하지만 개발 호재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면서 재건축 아파트가 0.33%, 일반아파트가 0.13% 올랐다.
자치구별로는 ▲양천(0.45%) ▲강서(0.36%) ▲서대문(0.32%) ▲강동(0.27%) ▲강남(0.26%) ▲영등포(0.18%) ▲중랑(0.17%) ▲송파(0.16%) ▲구로(0.14%) ▲동작(0.11%) 순으로 매매가가 상승했다. 양천은 재건축 기대감에 목동·신정동 신시가지 아파트 가격이 일제히 올랐고 강서는 마곡지구보다 저렴한 방화동, 가양동 일대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강남은 삼성동 한전부지, KTX수서역, 재건축 분양 등 개발 사업이 다양하게 진행되면서 거래가 꾸준하다.
신도시는 리모델링 시 내력벽 철거 방안이 유보돼 전주보다 둔화된 0.03% 오르는데 그쳤고 경기·인천은 0.05%로 전주보다 상승률이 커졌다.
신도시는 ▲일산(0.09%) ▲평촌(0.09%) ▲중동(0.08%) ▲위례(0.08%) ▲분당(0.02%) ▲판교(0.01%) 순으로 매매가가 상승했다. 일산은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조성 유치 확정 후 중소형 아파트 중심으로 매매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안양은 비산동 샛별한양6단지 소형아파트가 250만~500만 원 상승했다. 반면 파주 운정은 0.06%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29%) ▲고양(0.13%) ▲과천(0.12%) ▲구리(0.11%) ▲안양(0.08%) ▲군포(0.07%) ▲시흥(0.07%) ▲화성(0.07%) 순으로 올랐다. 광명은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개통 영향으로 매물이 회수되고 가격도 상승했다. 과천은 내달 이주를 앞둔 별양동 주공6단지가 500만~1000만원 올랐다.
전세시장은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 0.07%, 신도시 0.02%, 경기·인천 0.02%의 변동률을 보였고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난 송파, 강동, 하남의 전셋값이 하락했다.
서울은 ▲서대문(0.55%) ▲강북(0.36%) ▲강서(0.18%) ▲동작(0.18%) ▲중랑(0.17%) ▲구로(0.11%) ▲은평(0.11%) 순으로 상승했다. 서대문은 대단지 아파트 대상으로 월세나 반전세 매물이 많지만 전세매물은 대부분 소진돼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강동과 송파는 노후아파트를 중심으로 각각 0.31%, 0.01% 떨어졌다.
신도시는 ▲광교(0.12%) ▲동탄(0.06%) ▲중동(0.05%) ▲분당(0.03%) ▲일산(0.02%) ▲산본(0.02%) ▲판교(0.02%) 순으로 전세가가 올랐고 파주운정과 평촌은 각각 0.11%, 0.05%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광명(0.16%) ▲의정부(0.14%) ▲안산(0.11%) ▲시흥(0.08%) ▲구리(0.07%) ▲군포(0.06%) ▲파주(0.06%) 순으로 올랐다. 반면 과천은 재건축 추진 중인 노후아파트 대상으로 전세수요가 이탈돼 0.63% 하락했고 하남은 미사지구 입주 영향으로 0.48%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