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수도권 택지지구, 공급 축소 정책에 오히려 ‘활황세’

지난 달 30일 개관한 다산신도시 센트럴 에일린의 뜰 견본주택에 수요자들이 몰려있다.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으로 공공택지 공급축소를 통해 분양시장의 안정화를 꾀하려 했으나 공공택지 내 분양하는 단지들이 1순위에서 마감행진을 이어가는 등 오히려 활황세를 보이고 있다.

4일 금융결제원자료에 따르면 지난 8.25대책 발표 이후 9월 말까지 수도권(경기, 인천) 공공택지에서 분양한 단지는 모두 1순위에서 모집가구수를 채웠다. 9개 단지에서 739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3만 2234명이 몰리며 평균 17.8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공급한 경기·인천 아파트 1순위 평균 경쟁률 7.08대 1 보다 2배 이상 높은 경쟁률이다.

부영그룹이 지난 8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A70,71,72블록에서 공급한 '동탄2신도시사랑으로부영'의 경우 1순위에서 각각 53.54대 1, 61.1대 1, 53.0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급축소 방침이 발표된 이후 택지지구 아파트 분양권에 웃돈도 붙고있다.

9월부터 전매제한이 풀린 다산신도시 B7블록의 '다산진건유승한내들센트럴' 전용 84㎡의 경우 5000만~6000만원 가량의 웃돈이 형성돼 있다. 또 10월 전매가 풀리는 중대형구성의 '다산신도시 아이파크'에도 비슷한 수준의 프리미엄이 형성돼 있다.

다산신도시에 위치한 한 공인 관계자는 "8.25대책 발표 전에는 웃돈이 3000만원 안팎에 형성돼 있었으나 공급축소 발표로 매도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가격을 올려서 다시 내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기 시흥목감지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지난 8월 전매가 풀린 B-2블록의 '시흥목감신안인스빌'은 분양 당시에는 청약경쟁률이 2대 1로 큰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대책 발표 이후 웃돈이 큰 폭으로 형성돼 현재 전용면적 84㎡에 2000~300만원의 프리미엄이 형성 돼 있다는 게 인근중개업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연내에도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2차', 우미건설의 '동탄린스트라우스 더 레이크' 등 2만5000여 가구의 신규물량이 공급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공급축소 발표로 시장이 오히려 더욱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서울 접근성이 좋거나 교통호재가 계획돼 있는 중심으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는 만큼 실거주까지 고려한 청약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