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청년세대(19~29세)가 비청년(청년이외 세대)세대 보다 월세를 최고 2.7배 더 많이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원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분석한 '서울시 자치구별 월세조사' 자료에 따르면 청년세대가 내는 월세 보증금은 평균 1395만원으로 비청년세대(평균 2778만원)보다 적었다.
하지만 자치구별 전월세 전환율을 적용해 순수월세로 환산하면 1㎡당 청년세대는 2만2000원을 부담하고 있는 반면 비청년세대는 1만7000원을 부담하고 있었다. 특히 서대문구의 경우 1㎡당 비청년세대의 순수월세는 1만원이었지만 청년세대는 2만7000원에 달해 청년층이 비청년층에 비해 월세를 최고 2.7배 더 부담했다.
청년층이 부담하는 월세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성동구로 1㎡당 2만8000원을 냈다. 중랑구는 1㎡당 월세가 1만2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자치구별 1㎡당 월세단가는 평균 1만9000원이었다. 월세단가가 가장 높은 곳은 금천구로 1㎡당 3만5000원이었고 양천구와 중랑구가 1㎡당 1만1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거주지역 주택유형별 월세 수준을 보면 서대문구의 경우 1㎡당 고시원이 3만2000원, 오피스텔 2만6000원, 단독·다가구 2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관악구는 1㎡당 고시원이 3만2000원, 단독·다가구 2만7000원, 오피스텔 2만5000원 순이었다.
이원욱 의원은 "목돈이 없는 청년세대는 중장년층에 비해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살면서 오히려 월세는 비슷하거나 더 낸다"며 "청년 주거현실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 자치구별 월세조사 결과분석'에 따르면 서울 월세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4.7%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