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가을분양시장 기지개] 지속되는 전세대란… 전세 구하기 수월한 지역은 어디



# 내년 4월 결혼을 앞둔 김 모씨는 아직 결혼까지 6개월쯤 남았지만 서둘러 전셋집 찾기에 나섰다. 퇴근 후 저녁이나 주말을 이용해 틈틈이 전셋집을 찾아보러 다니지만, 사정에 맞는 전셋집이 없어 허탈감마저 느끼고 있다.

최근 전세대란의 배경으로는 수요 증대와 공급 감소라는 수요공급 불균형의 원인이 가장 크다. 전세를 찾는 사람들은 많지만 저금리로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증가해 시장에 나오는 전세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세를 찾는다면 공급이 있을 만한 곳을 우선적으로 찾아봐야 한다. 최근 조성되고 있는 신도시나 택지지구 등 새 아파트 입주가 몰려 있는 곳은 비교적 싸면서 쉽게 전세를 구할 수 있다. 입주 시 잔금 마련을 위해 전세로 내놓는 경우가 많아서다. 여기에 잔금납부일이 임박하면 전세시장에도 급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 보다 저렴하게 매물을 구할 수도 있고 전세 물량이 많다 보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6~2017년 수도권에서 아파트 입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동탄2신도시가 속한 화성시로 2만5582가구가 입주예정이다. 다음으로 시흥시(1만2572가구), 수원시(1만1494가구), 김포시(1만1133가구) 순으로 새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다.

아파트 규모가 큰 단지도 전세물량 확보가 수월하다.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질 경우 저렴한 수준에서 전세계약이 가능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단지는 관리비도 저렴하고 커뮤니티와 조경시설 등도 대규모로 조성되는 만큼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다는 이점으로 수요층이 두텁다. 다만 대단지 아파트는 지역의 시세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근 시세보다는 다소 비쌀 수 있다는 점은 단점이다.

올해 말까지 입주를 앞둔 수도권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는 9개 단지다. 서울에서는 성동구 하왕십리동 '왕십리뉴타운3구역 센트라스1·2차'(2529가구)와 성동구 옥수동 'e편한세상 옥스파크힐스'(1976가구) 금천구 독산동 '롯데캐슬 골드파크 1차'(1743가구) 등이 11월 입주를 시작한다. 경기도에서는 안양시 안양동 '래미안 안양 메가트리아'(4250가구)와 성남시 창곡동 '위례호반베르디움'(1137가구), 하남시 망월동 '미사강변 A8단지'(1389가구) 등이 올 연말까지 입주를 앞두고 있다.

통상 전세 계약기간이 2년인 것을 고려한다면 입주 2년차 아파트를 노려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재계약을 하지 않는 전세물량이 나올 수 있어서다. 특히 입주 2년차 아파트는 건축 자재에서 뿜어져 나오는 유해한 물질이 상당 부분 걸러진 상태여서 새집이란 느낌을 가지면서도 '새집 증후군'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다. 다만 입주 2년차 아파트는 주거여건이 어느 정도 안정된 시기로 집주인이 전세가를 올리는 경우가 많은 만큼 다소 비쌀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한다.

2년 전인 2014년 4분기와 2015년 1분기에 입주한 아파트가 가장 많았던 곳은 인천 동구와 경기도 화성시가 손꼽힌다. 두 지역 모두 약 1만가구가 넘게 입주했다. 인천 동구는 1만4455가구, 화성시는 1만1899가구가 입주했다. 이어 인천 남동구(4385가구)와 경기 남양주시(2416가구), 하남시(2304가구), 양주시(2218가구) 순으로 입주를 많이 했다.

보다 저렴한 전셋집을 찾는다면 재건축 아파트도 살펴 볼만하다. 오래된 아파트이기 때문에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구조상으로도 불편함이 따를 수 있지만 전세가격은 저렴한 편이다. 재개발·재건축이 이뤄진다고 해도 당장 2년 내 이주가 이뤄지기는 어렵기 때문에 살다가 철거되는 일은 없다. 다만 이주, 철거가 얼마 남지 않은 단지는 2년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할 수 있으므로 계약 전에 이점은 꼭 확인하는 것이 좋다. 사업지에 따라 소요기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합설립인가를 받고 이주까지 1년6개월에서 2년 정도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전세계약을 하면된다.

부동산 전문가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되도록 많은 중개업소를 방문해 물건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대기자 명단에 이름도 올려놓는 것이 좋다"며 "인터넷을 통해 수시로 물건을 검색해 보는 것도 좋은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