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대책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나면서 그간 아파트값 상승세를 주도했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값이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서울 아파트값도 2주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1.3 대책 이전 및 이후 한달 아파트 매매 변동률.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1·3 대책이 발표되기 전 한 달 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91% 오른 반면 발표 후 한 달 동안은 0.05% 상승에 그쳤다. 특히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시장은 대책 발표 이전에는 재건축 분양아파트 호황에 힘입어 한 달 간 0.76% 상승했지만 대책 발표 이후에는 1.16% 하락했다.
이달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다. 지난 주 2년만에 하락한 이후 다시 하락세가 이어진 것다. 탄핵 정국 속에 아파트 시장도 매수 문의가 줄어든 영향도 컸다. 재건축 아파트는 0.10% 하락했고 일반아파트(재건축 제외)도 보합에 머물렀다.
서울의 구별로는 ▲양천(-0.18%) ▲강동(-0.17%) ▲송파(-0.08%) ▲중랑(-0.05%) ▲관악(-0.03%) ▲강남(-0.01%)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양천은 매수세가 뜸해지면서 강동은 재건축 아파트값이 연일 약세다. 반면 ▲종로(0.18%) ▲영등포(0.11%) ▲서대문(0.11%) ▲강북(0.11%) 등은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매수세는 줄었지만 저가매물 거래 이후 매매가격이 소폭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도 0.01% 변동률에 그쳤다. 신도시는 이사 비수기 접어들며 ▲판교(0.03%) ▲일산(0.02%) ▲산본(0.02%) ▲동탄(0.02%) ▲김포한강(0.02%)이 소폭 상승하는데 머물렀다. 경기·인천은 ▲수원(0.04%) ▲구리(0.02%) ▲인천(0.02%) ▲안산(0.02%) ▲의정부(0.02%) 등이 상승했다. 수원은 중소형 면적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의 거래가 꾸준한 지역에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한편 ▲광명(-0.07%) ▲양주(-0.05%) ▲하남(-0.05%) 등은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겨울 이사비수기를 맞아 수요가 줄어들면서 0.03% 오르는데 그쳤다. 신도시도 파주운정, 위례 등에서 상승폭이 둔화되며 보합을 보였고 경기·인천은 0.02% 상승했다.
서울은 ▲용산(0.26%) ▲서초(0.13%) ▲양천(0.13%) ▲구로(0.11%) ▲마포(0.06%)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용산은 월세나 반전세 매물이 대부분으로 순수 전세매물이 귀하다. 반면 ▲강동(-0.19%) ▲서대문(-0.09%) ▲중랑(-0.08%) ▲관악(-0.07%) ▲송파(-0.03%)는 하락했다.
신도시는 ▲일산(0.15%) ▲광교(0.02%) ▲산본(0.02%) ▲동탄(0.01%)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고 ▲파주운정(-0.26%) ▲위례(-0.07%) ▲판교(-0.03%) ▲평촌(-0.03%)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성남(0.15%) ▲안산(0.11%) ▲화성(0.08%) ▲수원(0.06%) ▲용인(0.06%) ▲오산(0.05%)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광명(-0.20%) ▲양주(-0.13%) ▲이천(-0.05%) 등은 하락했다.
서성권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얼마 남지 않은 올해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현재와 같은 약보합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부터는 잔금대출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적용되고 미국금리 인상과 국내 금융기관들의 금리 인상이 아파트 매수심리를 더욱 위축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