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LH 단지 내 상가 공급이 집중되며 상가 분양이 활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4분기 전국에서 총 84개의 상가가 공급됐다. 이는 3분기 44개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단지 내 상가가 44개로 전체 물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LH 단지 내 상가가 32개 공급된 영향이다. 그 외 근린상가는 29개, 복합형상가는 11개 순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분양이 활발했다. 수도권에서 62개의 상가가 공급되며 전체 공급의 74%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42개 인천 11개. 서울 9개 순으로 많았다.
분양물량이 증가하며 점포수도 증가했다. 4분기 공급됐던 상가 점포는 총 3843개로 전분기대비 111%, 전년동기와 비교해서 7% 가량 늘었다. 점포수 100개 이상의 대규모 상가는 10개 상가가 공급됐고 이중 9개 상가가 수도권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가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2322만원(1층 기준)으로 전분기대비 9.2% 가량 낮았다. 전분기 일부 상가들이 3.3㎡당 5000만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공급되며 평균 분양가가 비교적 높았지만 4분기에는 다시 종전 수준으로 회귀한 것으로 보여진다. 유형별로는 근린상가가 2785만원, 아파트 단지내상가가 1821만원, 복합형상가가 3183만원 수준이다.
LH단지내상가는 32개 단지에서 총 269개 점포(특별분양, 입찰취소 제외)가 공급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시흥, 부천, 화성 등에서 18개 단지(167개 점포)가, 지방에서는 광주, 부산, 세종시 등에서 14개 단지(102개 점포)가 공급됐다.
269개 점포의 평균 공급가는 3.3㎡당 1570만원 수준이며 평균 낙찰가는 2944만원이다. 낙찰된 248개 점포의 평균 낙찰가율은 181%이며 이 중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한 단지는 파주운정A20블록(287%), 인천서창(2)2블록(260%), 화성향남2A18블록(254%) 순이다. 평균 낙찰가가 높은 단지로는 하남미사A29블록(3.3㎡당 5557만원), 부천옥길S1블록(5018만원), 파주운정A20블록(4897만원)이다.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공급된 21개 점포는 낙찰률이 92.2%에 그쳤다.
11.3대책 영향으로 주택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반면 규제에서 자유로운 수익형부동산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높아지는 상가 분양가와 동시에 커지는 공실 우려는 투자수익률을 낮추는 리스크요인이다. 유망 투자처로 꼽혔던 LH 단지내상가에 대한 투자 역시 입찰가격이 2배 이상 높아 더 이상 저렴한 투자처가 아니게 됐다.
김민영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주택시장 위축으로 수익형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올해에도 유동자금이 상가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며 "하지만 공실 우려는 투자수익률을 낮추는 리스크요인인 만큼 투자에 앞서 기본적으로 가격과 입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