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침체로 지난해 4분기 오피스 임대가격지수가 전분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감정원이 전국 오피스와 상가 4955동과 집합상가 2만300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층 이상 오피스의 4분기 임대가격 지수는 3분기보다 0.1% 하락했다. 기업들의 임차 수요가 줄어들었지만 오피스 공급 역시 소폭 감소하며 공실률은 전국 13.0%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지난해 3분기 오피스 공급 면적은 206만㎡에서 4분기 184만㎡로 줄어든 바 있다.
상가들의 임대가격지수도 하락세였다. 3층 이상의 중대형 상가의 임대료는 3분기보다 0.2% 줄었다. 소규모상가와 집합상가의 임대료 역시 전분기보다 0.1%씩 하락했다.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며 기업 활동이 위축되는 가운데 소비심리 역시 얼어붙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상가들의 공실률은 중대형 상가 10.6%, 소규모 상가가 5.3%로 지난 3분기 수준인 10.6%와 5.3%에 유사한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이 다소 증가했지만 중대형 상가의 경우 임대료가 하락하며 공실이 해소됐다"고 말했다.
투자수익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적게는 0.16%포인트에서 많게는 0.33%포인트까지 하락했다.
유형별로 수익률을 보면 오피스가 1.39%로 전년동기대비 0.21%포인트 떨어졌고 , 중대형 상가는 0.16%포인트 내린 1.55%, 소규모 상가도 같은기간 0.19% 하락해 1.47%의 투자수익률을 기록했다. 집합상가는 0.33%포인트로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이며 1.49%의 투자수익률을 기록했다.
또 한국감정원은 서울 등 7개 대도시의 권리금 현황을 조사한 결과 권리금이 있는 경우는 67.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70.3%)비 2.8%포인트 줄은 수치다. 도시별로는 인천이 87.6%로 가장 높았고 서울이 59.6%로 가장 낮았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점업(86.4%)이 권리금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평균 권리금은 4661만원으로 전년(4574만원) 대비 1.9% 상승했다. 조사 대상 7개 도시 가운데 권리금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평균 5572만원이었고 울산이 2565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업종별로는 여가관련 서비스업이 5561만원으로 조사됐고 기타 개인서비스업은 2728만원이었다.
권리금 법제화에 따라 표준권리금 계약서가 보급된 이후 권리금을 거래할 때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점차 늘고 있다는 게 한국감정원의 설명이다. 2015년에는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10.9%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12.0%로 증가했다. 임대 계약기간은 평균 2.1년으로 나타났고 임차인이 최초 계약한 이후 평균 영업기간은 7년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