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후에도 부동산시장은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져 아파트 거래가 위축됐고 시세는 제자리 걸음을 이어갔다.
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첫째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2% 올랐다. 일반 아파트 가격은 0.01% 상승에 그쳤고 지난해 12월 이후 제자리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월 서울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512건으로 지난해 1월(5,431건)보다 17%나 감소했다.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0.08% 상승했다. 송파구는 잠실동 주공5단지, 신천동 장미아파트에 저가매수세가 이어졌고 강동구에서는 5월 이후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예정돼 있는 둔촌주공이 올랐다. 매수심리가 위축된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지난주에 이어 변동 없이 보합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는 서울은 ▲영등포(0.08%) ▲용산(0.06%) ▲마포(0.05%) ▲성동(0.05%) ▲송파(0.05%) ▲서대문(0.04%) 등이 올랐다. 반면 ▲금천(-0.03%) ▲노원(-0.02%) ▲동대문(-0.01%)은 거래 위축에 따라 중대형 면적 아파트 중심으로 소폭 하락했다.
보합세가 이어진 신도시는 ▲동탄(0.05%) ▲일산(0.01%) ▲광교(0.01%) 등이 올랐다. 반면 ▲분당(-0.01%) ▲판교(-0.11%)는 하락했다. 경기·인천 역시 보합세가 이어진 가운데 ▲구리(0.03%) ▲고양(0.02%) ▲의정부(0.02%) ▲남양주(0.01%) 등이 올랐고 ▲파주(-0.11%) ▲이천(-0.05%) 등의 시세가 하락했다.
전세시장도 한파가 지속된 가운데 수요가 줄면서 서울이 전세 매물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0.03% 올랐을 뿐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잠잠했다. 서울은 ▲서대문(0.29%) ▲강서(0.13%) ▲용산(0.11%) ▲노원(0.10%) ▲성북(0.10%) 등이 올랐고 대규모 아파트 입주가 이어진 ▲성동(-0.11%) ▲강동(-0.31%)은 하락했다.
신도시는 ▲평촌(0.04%) ▲분당(0.01%) ▲일산(0.01%) ▲동탄(0.01%) 등 1기 신도시 중심으로 상승한 반면 전세 수요가 뜸했던 판교는 0.14%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화성(0.08%) ▲인천(0.04%) ▲의왕(0.04%) ▲파주(0.02%) ▲군포(0.01%) ▲남양주(0.01%) 등이 올랐고 전세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상반기 대규모 아파트 입주를 앞둔 ▲양주(-0.09%) ▲평택(-0.04%) 등은 하락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경제ㆍ정치적인 불확실성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돼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관망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전세시장은 봄 이사철을 맞아 반짝 수요가 예상되지만 늘어나는 아파트 공급 물량을 고려하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안정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