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아파트 분양시장 분위기가 주춤한 가운데 부산지역에선 4만1000여 가구의 신규 분양물량이 쏟아져 눈길을 끌고 있다. 15년 만에 최대 물량이어서 분양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부산에서 분양했거나 분양 예정 중인 물량은 4만1471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2만4860가구)보다 약 67% 가량 늘어난 물량인데다 2002년 4만3718가구가 나온 이후 15년 만의 최대물량이다.
업계에서는 부산 분양 물량 증가의 이유를 재개발·재건축 물량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부산 분양시장이 호황을 이루면서 도시정비사업들이 순항하고 있는데다 대형 건설사들의 재개발 재건축 수주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어서다.
실례로 부동산 114자료의 조사를 보면 연내 부산 재개발·재건축으로 분양되는 물량은 2만3401가구로 역대 최다다. 특히 최근 5년(2012년~2016년) 동안 평균 7400여 가구가 공급된 것과 비교했을 때 분양 물량이 3배 이상 늘었다.
특히 이번 부산 재개발·재건축이 기존과 달리 전체적으로 확대된 것도 이유다. 최근 부산에서 분양했던 주요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이 해운대구, 연제구, 동래구, 남구 등 조정대상지역에 속한 것과 사뭇 다르다. 연내 분양물량 2만3401가구 중 부산진구, 북구, 서구, 영도구 등 11·3대책의 규제를 피해간 지역의 물량만 1만1908가구로 전체 분양물량의 51% 가량이다. 지난 2015년 21%(7938가구 중 1669가구), 2016년 37.87%(전체 8675가구 중 3285가구)만 해당됐던 것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부산은 입주폭탄이라고 불리는 올해와 내년에도 입주물량이 적정선을 유지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요를 기대할 수 있다. 올해 부산 입주 예정물량은 1만6215가구이며 ▲2018년 2만1447가구로 최근 3년(2014년~2016년) 평균 입주물량(1만9535가구) 수준이다. 이에 비해 인근 지역인 경남지역의 입주 예정물량은 ▲2017년 3만8429가구 ▲2018년 3만7060가구로 최근 3년 평균 입주물량(2만1852가구)을 웃돈다. 경북지역도 ▲2017년 2만3482가구 ▲2018년 2만5267가구로 평균 입주물량(1만2980가구)보다 크게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부산 신규 분양 아파트에 대한 관심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지난 1월 부영주택이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도시 일대에 공급한 '사랑으로 부영' 아파트는 1097가구 모집에 2만5792명이 신청하며 평균 23.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또 같은달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공급한 '전포 유림노르웨이숲'도 127가구 모집에 6083명이 몰리며 평균 47.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부산 부동산시장은 11·3대책 전매제한 강화에서 제외되는 데다 노후아파트 비율도 높아 실수요와 투자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곳이다"며 "수요가 여전히 견고한 만큼 당분간 분양시장도 긍정적인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포스코건설은 이달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 2·3블록에서 '명지국제신도시 더샵'을 분양한다. 전용 80∼113㎡, 2936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신호대교와 을숙도대교, 거가대교 등을 이용해 부산, 창원, 김해, 거제 등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한화건설은 3월 부산 부산진구 연지 1-2구역 재개발을 통해 '부산 연지 꿈에그린'을 분양한다. 전용 39~84㎡, 1113가구 중 710가구가 일반 분양분이다.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시민공원, 백양산 이 인접해 정주여건이 쾌적하다. 연학초, 연지초, 초연중, 부산진고 등 교육환경도 좋은 편이다. 같은 달 롯데건설은 부산 해운대구 중동일대에서 '해운대 중동 롯데캐슬'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전용 84~99㎡, 828가구 규모다.
대림산업은 4월 부산 기장군 일광지구3블록에서 '일광지구e편한세상'을 분양한다. 전용 75~84 m² 913가구 규모다. 동해선 일광역을 이용할 수 있고, 부산울산고속도로도 가깝다. /김형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