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아파트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재건축 사업이 순탄하게 진행되는 개포주공1단지 등은 매매 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35층' 서울시의 층수제한 방침에 막힌 압구정 등에서는 약세를 나타내는 중이다.
1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값은 한 주간 0.02% 상승했다. 다음달 말 관리처분 총회가 예상된 개포주공1단지와 오는 5월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는 둔촌주공을 찾는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서울재건축이 주간 0.10% 오른 영향이다.
반면 서울시가 지난 9일 재건축 층수 제한에 대한 입장을 확고히 하며 한동안 보합세를 유지하던 압구정 구현대1~3단지는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잠실주공5단지는 일부 50층 건립이 가능한 것에 안도하며 보합세를 보였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보합세(0.00%)를 나타냈다.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제한적인 거래만 이뤄지며 전반적으로 가격변동이 크지 않았다.
서울 매매가격은 ▲종로(0.11%) ▲강동(0.09%) ▲구로(0.09%) ▲동대문(0.09%) ▲강북(0.08%) ▲강서(0.07%) ▲강남(0.06%)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노원(-0.05%) ▲양천(-0.03%) ▲성북(-0.03%) ▲도봉(-0.03%) 등은 매수세가 뜸해지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노원은 중계동 롯데우성이 2000만원 가량 떨어졌고, 양천은 목동 목동신시가지2단지, 목동e편한세상 등이 500만~1500만원 정도 내렸다.
신도시는 수요, 공급 모두 뜸해 조용한 조용한 분위기다. ▲동탄(0.04%) ▲분당(0.01%) ▲일산(0.01%) ▲평촌(0.01%)은 매매가격이 상승했고 ▲산본(-0.08%)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과천(-0.09%) ▲의정부(-0.06%) ▲이천(-0.06%) ▲광주(-0.04%) ▲광명(-0.03%) ▲남양주(-0.02) ▲안산(-0.02%) 순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김포(0.15%) ▲파주(0.04%) ▲화성(0.01%) 등의 매매가격은 상승했다.
김은선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둔촌주공, 개포주공1단지 등 재건축 사업이 순항하는 단지로 저가 매수 투자 수요가 움직이는 모습"이라며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 보기가 치열한 가운데 일부 저가 매물만 거래돼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가 내년에 부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재건축 사업이 순항 중인 단지는 저가 매수로 아파트 값 상승 여력이 있으나 층수 제한 등에 막혀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게 될 단지는 수요 회복이 쉽지 않아 보인다"며 "일반 아파트의 경우 상승 동력은 적지만, 실입주 수요가 가격을 지탱해 소폭 가격 상승을 유지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전세가격은 서울이 0.02% 상승했다. 신도시는 0.01% 하락했고 경기·인천은 0.01% 상승했다. 전세시장은 물건 부족으로 가격이 오른 지역도 있지만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은 하락하는 등 국지적으로 차별화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서울은 ▲종로(0.61%) ▲강북(0.18%) ▲동작(0.16%) ▲강남(0.10%) ▲은평(0.10%) ▲동대문(0.07%)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반면 ▲강동(-0.32%) ▲서대문(-0.21%) ▲도봉(-0.21%) ▲성북(-0.09%) ▲양천(-0.01%)은 하락했다.
신도시는 ▲일산(0.08%) ▲분당(0.05%) ▲동탄(0.03%) ▲평촌(0.02%)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반면 ▲위례(-0.43%) ▲파주운정(-0.26%) ▲산본(-0.08%) 등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안산(0.13%) ▲안양(0.12%) ▲구리(0.08%) ▲성남(0.05%) 순으로 상승했다.
이에 반해 ▲광주(-0.17%) ▲과천(-0.17%) ▲양주(-0.10%) ▲하남(-0.08%) ▲평택(-0.04%)은 전셋값이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