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 향방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가계부채 축소를 위한 부동산 규제 도입을 강하게 시사해왔던 만큼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한 지금의 부동산 열기가 오래가지는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에서는 청문회 절차가 끝나고 조직인선이 완료되는 대로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도 실체를 드러낼 것으로 보고 있다.
새 정부의 부동산 공약은 '주거안정'과 '도시재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을 통해 부동산 시장 양극화를 해소하고 서민 주거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지역 특색에 맞춘 소규모 정비방식을 통해 세입자 보호 등 주거복지에 더 무게를 둔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새 정부는 매년 장기공공임대주택 13만가구, 공공지원 임대주택 4만가구 등 총 17만호의 공공임대주택을 시장에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또 공공임대주택의 30% 수준인 4만가구는 신혼부부에게 우선 공급하고 홀몸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주택을 1만가구 공급한다,
문 대통령의 부동산 공약 1호인 '도시재생 뉴딜' 사업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시재생은 전면 철거방식의 기존 재개발 사업과는 다르게 지역 특색에 맞춘 소규모 정비방식으로 진행된다. 노후한 인프라는 개선하면서도 지역 특성을 살린 문화·상업 공간 등을 함께 조성해 균형발전을 꾀함과 동시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둔다.
이밖에 문 대통령은 총부채상환비율(DTI)·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를 연장할 생각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으며 대출 규제도 강화할 뜻을 내비치고 있다. 종부세 등 보유세 강화와 전·월세상한제 등의 도입 가능성도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거대한 판도 변화는 사실상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