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으로 설비 이상을 조기 감지하라.'
AI 기술이 공장설비·발전기 등 이상을 조기에 예측하고, 작은 불꽃만 튀어도 화재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는 등의 이상상황 감지 기술에 속속 도입되고 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알체라·원프레딕트·포미트 등 AI 스타트업들은 설비, 발전기 등에 발생할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거나 이상을 조기 감지하는 AI 이상 감지 솔루션을 내놓고 국내외에 제품 공급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발전기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드론 촬영이 늘어나고 있는데, AI가 드론으로 찍은 사진을 분석해 발전기 블레이드(날개) 손상을 예상하는 등으로 AI 이상상황 감지 기술 활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원프레딕트는 산업 AI 기반으로 산업설비의 건전성을 진단해 설비의 이상 등 상태를 예측하는 솔루션을 개발해 중부발전, 서부발전 등에 공급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회사는 중부발전에 '가디원 터빈' 솔루션을 제공했으며, 서부발전에는 '가디원 윈드(풍력발전기)' 서비스를 제공했다.
원프레딕트는 AI로 풍력발전, 발전소 터빈, 모터, 대형 펌프 컴프레셔 등 각각의 산업설비 건전성을 진단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또 이 기술을 모빌리티 분야에 도입하기 위해 VHM(차량상태관리) 솔루션을 개발했으며, 다양한 자동차업체들과 협업을 진행 중이다. VHM은 자율주행차 시대를 맞아 차량 상태를 차량 스스로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원프레딕트 관계자는 "향후 변압기 차단기와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로봇으로 확대해 로봇의 이상까지 검토할 것"이라며 "우리는 다른 AI 기업과 다르게 각 산업설비의 물리적 지식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에 다른 제품보다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프레딕트는 최근 변압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가디원 트랜스포머'를 새롭게 출시했다.
발전 플랜트 전문 IT 서비스기업인 포미트는 풍력발전의 블레이드 이상을 AI 기술로 조기 탐지해 관리할 수 있는 AI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한국남동발전과 연구개발(R&D)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달 개발에 착수했다.
풍력발전기의 이상 여부를 조기 탐지하기 위해 드론으로 블레이드를 촬영하는데, 포미트는 사전에 3D 가상모형을 만들고 촬영한 300컷의 이미지를 AI 기법으로 텍스처링(재질 입히기)해 현장의 상태를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드론으로 촬영한 이미지는 겹치기도 하고 바람에 흔들려 비뚤게 촬영되기도 하는데, 겹치는 부분을 잘라내고 각도도 조절해 이미지를 보정한 후 3D 모델로 개발하는 것.
포미트 관계자는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 등 사진을 주기적으로 보고 특정 부위에 손상부가 있을 경우 언제쯤 이 손상이 특정 크기로 커질 수 있다는 식의 예측이 가능해진다"며 "AI로 시설을 점검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DB)화할 수 있게 되는데, 다른 설비관리에도 관련 기술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드론의 자율주행을 위한 AI 알고리즘도 개발해 드론에 장착시킬 계획이다. 사전에 AI를 학습시켜 블레이드의 중간인지 끝부분인지를 학습시켜 실제 드론에 AI 자동비행 모듈을 탑재하면 끝부분까지 갔을 때 돌아서 제자리로 오게 한다.
알체라는 AI 이상상황감지기술을 개발해 캘리포니아 최대 전력회사 퍼시픽가스앤드일렉트릭(PG&E)과 지능형 산불 감지 시스템을 통해 캘리포니아 산불 감시에 나선다. 알체라는 이에 앞서 이 기술을 올해 초까지 POC(기술검증) 형태로 산불 감시에 적용했다.
알체라의 기술은 누군가 방화를 해 작은 불꽃이라도 튄다면 이를 빠르게 감지해 알려주고, 시설물에 누군가 배회나 침입을 하는 것까지 감지해준다. 이 시스템은 국내에서도 한국전력 남서울본부 시설감시용 카메라 250여대에도 탑재됐다.
알체라 관계자는 "이 시스템은 AI 서버만 구입하면 기존 카메라를 바꿀 필요 없이 연결만 하면 돼 간편하다"며 "이 시스템을 중장비가 오가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이 많은 건설 현장, 토목 현장에 납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