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대학 대면 강의 추진하자 되레 일부 학생들 반대

대학 대면 강의 추진하자 되레 일부 학생들 반대

 

27일 연세대 교내에 '코로나19 관련 출입문을 폐쇄한다'는 내용의 안내장이 붙어있다./메트로신문 DB

[메트로신문 이현진 기자] 대학 간 다른 대면 강의 방침에 학생들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최근 일부 대학에서 대면 강의 재개를 추진하자 되레 일부 학생들이 대면 강의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7일 대학가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던 강의를 일부 대학들이 속속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면서 일부 학생들이 코로나19 재확산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그간 학생들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던 수업의 강의 질과 학습권 침해 등을 주장하며 등록금 일부 반환을 요구해 왔다.

 

가천대 총학생회는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응답자 70%가 1학기 전면 온라인 강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대학 측이 이달 8일 이후 대면·비대면 수업을 병행키로 하자 학생들은 이를 근거로 반대에 나섰다. 학생들은 "대면 강의 반대" 취지의 SNS에 올리고 여론을 모았다.

 

결국 가천대는 학생들 반발에 부딪혀 수정된 수업 진행 기준을 내놨다. 가천대는 수업방식 선택을 학생에게 맡기면서도 화상강의 출석에 따른 성적 불이익 처리는 없다고 안내했다.

 

학생 '동의를 받고' 대면 수업을 진행하는데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교수 결정권이 비교적 절대적이라 거부하기 어렵다"는 한 대학원생의 우려는 다수 학생의 공감을 얻었다. 연세대 대나무숲 페이스북 페이지에 한 학생은 "20명 이하 강의는 교수와 학생 동의하에 대면 강의를 허용하고 있는데, 대학원생들이 거부 의사를 드러내기는 쉽지 않다. '학생들의 동의하에' 대면 강의를 한다는 말에는 (학교의) 책임이 없다"면서 "면역 증후군으로 치료를 받아 온 학생으로서 대면 강의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토로했다.

 

앞서 숭실대는 총학생회가 학생 설문조사를 수렴해 먼저 학교 측에 1학기 전면 원격 수업을 요구했다. 총학이 나서 학우들의 학습권을 최대한으로 보장한 요구 사항을 담아 학교 본부에 제시했고, 대학 측은 교무위원회를 열어 이를 받아들였다. 결국, 숭실대는 1학기 전면 온라인 강의를 하기로 했다.

 

학생들의 주거 불안도 학생들의 우려 사항이다. 재택으로 온라인강의를 듣던 학생들이 한 달 남짓 남은 1학기 중 대면 강의를 위한 자취방이나 기숙사를 구하기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대학도 코로나 19 추이를 살피며 대면 강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다보니 학생들에게 미리 알리는 데 어려움이 따랐다. 초·중·고와 달리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이 모여 감염 우려가 크다는 입장이다.

 

지방의 한 대학 재학생은 "부산, 대구, 울산, 경북 등 많은 지역에서 학생들이 오는데 고등학교보다 좁은 강의실, 강의실의 위생 문제, 학식, 기숙사 등에 대해 학교는 대책 없이 개강만 확정했다"라면서 "대학 측이 대면강의를 공지해 당장 학교 근처로 방을 구해야 하는데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코로나 19 여파로 대학가에 여러 가지 혼선이 생기고 있지만, 교육부는 2월 '온라인 수업 권고' 이후 대부분 사안을 대학 자율에 맞기고 있다. 서울지역 한 대학 관계자는 "온라인 수업 전환 이후 학생들의 등록금 일부 반환 요구가 이어졌는데, 최근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려 하자 이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면서 "학생들 입장도 충분히 이해하는 만큼 차라리 교육 당국이 대학에도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을 내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