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직장인 74.1% "노후준비 잘 못하고 있다"

직장인 74.1% "노후준비 잘 못하고 있다"

 

노후 생활비 월 평균 216만원 필요…직장인 2명 중 1명은 '국민연금'에만 의존

 

잡코리아 제공

현재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자신의 노후를 암담하게 그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노후를 생각하면 어떤 기분이 드는 지 질문한 결과 37.0%가 '암담하고 불안하다'고 응답했다. '아직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8.9%로, '희망적이고 긍정적이다'는 응답자는 24.2%에 불과했다. 잡코리아(대표이사 윤병준)가 알바몬과 함께 30.40대 남녀 직장인 2385명을 대상으로 '노후준비 현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자신의 노후를 떠올렸을 때 이처럼 암담하고 불안하게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이유는 지금 당장 노후대비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노후준비를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잘 하고 있는 편이다'라고 응답한 직장인은 25.9%에 불과했다. 나머지 74.1% '잘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노후 생활 중에서 가장 우선순위로 걱정되는 부분은 '경제력'이 61.3%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건강'(31.3%)이 2위를 차지했다. 기타 소수의견으로는 ▲외로움(3.2%) ▲무료함(1.8%) ▲사회적 고립(1.6%) 등의 의견도 있었다.

 

그렇다면 노년을 안정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얼마의 금액이 필요할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매월 평균 216원 정도가 있어야 노년을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노년을 위한 경제적 준비를 '국민연금'에 의존한다는 답변이 응답률 50.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금 및 저축(37.2%) ▲개인연금(14.8%) ▲부동산 투자(7.7%) 등으로 준비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자금마련을 거의 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34.6%에 달했다.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은 응답자들의 81.1%가 '부족한 편이다'고 답했다. 이어 ▲보통이다(9.9%) ▲충분한 편이다(8.9%) 순으로 응답했다. 10명 중 8명의 직장인이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이 높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직장인들이 자신의 노후를 제대로 대비하고 있지 못하는 이유는 노후준비를 하기에 '현재 소득 자체가 적다'는 직장인이 51.1%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녀 교육비 때문에(25.3%) ▲전세 및 집 구매를 위한 담보 대출 상환 때문에(23.3%) ▲높은 물가 때문에(19.6%) ▲현재를 즐기고 싶은 마음에 여행 및 쇼핑 등 지출이 많기 때문에(11.9%) ▲부모님 부양 때문에(7.6%) 등의 이유로 노후준비 자금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