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조쌍구 건국대 교수팀, 방광통증 증후군 유전 차이 규명

조쌍구 건국대 교수팀, 방광통증 증후군 유전 차이 규명

 

김아람 건국대병원 교수팀 공동연구…간질성 방광염 질환예측 신규 마커도 발굴

 

연구팀/건국대 제공

건국대는 조쌍구 KU융합과학기술원 줄기세포재생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방광이 차면 통증이 생기는 간질성 방광염(방광 통증 증후군)에서 환자 간 유전적 차이를 규명하고 이에 따른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신규 마커를 발굴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는 김아람 건국대병원 비뇨기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e, IC)은 방광이 차면 통증이 유발되는 방광 통증 증후군(Bladder pain syndrome, BPS) 질환이다.

 

이 질환은 최근 임상 사례가 알려지기 시작해 정확한 진단을 받기 어렵다. 환자 대부분이 진통제를 수년동안 복용하며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여러 약물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질환의 치료 대책은 여전히 없는 상태이다.

 

건국대 줄기세포재생공학과 분자세포 리프로그래밍 (Molecular & Cellular Reprogramming, MCR) 연구실의 수보로토 쿠마 사하 (Subbroto Kumar Saha) 박사, 전탁일 박사과정 대학원생 연구팀과 건국대병원 비뇨기과의 김아람 교수 융합연구팀은 생물정보학 분석 방법(IT)과 건국대학교병원 환자들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실험 분석(BT) 융합 연구를 통해 비질환자와 질환자의 유전적 차이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간질성 방광염의 근본적인 병인(pathophysiology)을 밝히기 위해 생물정보학 (Bioinformatics) 분석 기법을 도입해 이전 임상 연구 사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비질환자와 질환자의 유전적 분석을 통해 차이를 알아내고 그 중 발현 차가 큰 유전자를 분석했으며, 이들 유전자 중 서로의 연관성이 큰 유전자인 '허브 유전자'를 선별했다.

 

건국대와 건국대병원 연구팀은 선별된 허브 유전자를 실제 환자에게 적용해 유전적 특징이 일치하는지 알아봤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해 간질성 방광염의 신규 바이오 마커를 발굴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환자 조직과 소변에서 검출되는 CD38, ITGAL, IL7R, KLRB1, 및 IL7R 유전자들의 발현이 실제 방광조직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면, 환자가 간질성 방광염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한 치료 경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치료가 이뤄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결과 중 일부는 의학 일반(Medicine, General & Internal) 분야 10% 이내 국제 저널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에 2020년 6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조쌍구 교수와 김아람 교수가 참여하는 융합연구팀이 지난해 7월부터 수행 중인 한국연구재단 국책과제인 '난치성 방광질환 치료를 위한 효율적인 생체 내 세포전환 기술 개발' 연구의 하나로 이뤄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